PUKYONG

은행 업무 변화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for the changing in banking business : focusing on the enhancing environmental image quality
Abstract
최근 은행의 서비스는 컴퓨터ATM기, 전화 및 인터넷 등의 매개체를 통해 고객이 굳이 영업점에 방문하지 않아도 편리한 이용이 가능한 시스템이 구축되어가는 상황이다.
과거 은행 이용객들의 대다수는 입출금과 자금이체의 목적을 가졌다. 이러한 업무형태는 은행의 가치수익적 측면에서 수익원이라기보다는 코스트 증가의 요인이 되었다. 그래서 앞으로의 은행업무 방향은 SALE업무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운영 및 관리에 비용을 절감하게 될 것이다. 현재 일부 국내은행에 적용되고 있는 SOD(Segregation Of Duties)제도 역시 영업점 업무를 세일즈와 오퍼레이션으로 분리하게 되면서 담당자별로 맡은 업무를 명확하게 규정해 책임소재와 동기부여를 가능하도록 조직을 재배치하고 있다.
향후 은행의 형태는 입출금과 자금이체 등의 과거 주력 업무는 무인채널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유인영업점은 특화된 상담 장소로 변화되면서 고객의 Code에 맞춘 고객만족경영의 형태로써 문화공간들이 부가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은행업무형태의 변화에 따른 공간구성계획의 특성들을 파악하고, 변화되는 은행문화 Code로의 접근을 유도하고자 한다.
Recently, banking services have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inter-mediators including Automated Teller Machine, phone banking, and internet banking. By using the new services, customers take advantages of convenience without needs of visiting bank branches in that they have their own accounts. In the past, however, most transactions of customers were of deposit/withdrawal and money-transfer. The old-trend services to satisfy customers' needs had produced the increase in spending. The ideal future direction of banking services is to cut down the sales services, which would reduce management budget. As to date, some domestic banks run Segregation Of Duties (SOD) system that splits the works of bank branches into sales and operation. The SOD system rearranges their organizations by clearly defining the sources of responsibilities to appropriate employees.
Therefore future bank model is the transformation of the old-fashioned services into automated systems. In the mean while, the face-to-face type of services needs to be specialized to create an additional new cultural paradigm that advances quality managements to meet customer's satisfaction.
This thesis recognizes the spatial and emotional aspects accompanying by the changes of banking services and encourages new approaches of the developments for future banking codes.
Author(s)
변정아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은행 업무 변화 공간구성 환경개선공사
Publisher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66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84364
Alternative Author(s)
Byun, Jeong-Ah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건축학과
Advisor
김기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범위 및 방법 = 3
Ⅱ. 은행의 업무형태 변화와 특성 = 5
2-1. 은행 공간의 이해 = 5
2-1-1. 은행의 공간계획 = 6
2-1-2. 은행 업무에 따른 공간 분류 = 12
2-2. 은행의 업무형태 변화와 특성 = 13
2-2-1. 은행 업무의 변화 = 13
2-2-2. 은행 구성체계의 변화 = 13
2-3. 영업점 업무분리(SOD)제도 = 16
2-3-1. SOD의 개념 = 16
2-3-2. SOD의 업무 형태 = 18
Ⅲ. 은행 공간구성의 변화에 대한 조사 = 21
3-1. ZONING에 따른 영역 구분 = 21
3-1-1. 사례1 (A지점) = 22
3-1-2. 사례2 (B지점) = 23
3-1-3. 사례3 (C지점) = 24
3-1-4. 사례4 (D지점) = 25
3-1-5. 사례5 (E지점) = 26
3-1-6. 사례6 (F지점) = 27
3-1-7. 사례7 (G지점) = 28
3-1-8. 사례8 (H지점) = 29
3-1-9. 사례9 (I지점) = 30
3-1-10. 사례10 (J지점) = 31
3-2. 가구의 배치 및 형태 = 32
3-2-1. 자동화코너 기계수 = 33
3-2-2. 카운터 개수 = 34
3-2-3. 카운터 길이 - 1인당 점유길이 = 35
3-2-4. 카운터 배치 유형 = 36
3-2-5. 고객대기 쇼파의 배치 유형 = 37
3-3. 은행가구의 종류별 변화 = 39
3-3-1. 카운터 = 39
3-3-2. 고객 대기 공간의 쇼파 = 40
3-3-3. 자동화기기코너 부스 = 41
3-3-4. 필경대 = 42
3-3-5. 인터넷부스 및 음수대 = 43
3-3-6. 책임자 책상 및 업무용 책상 = 44
3-3-7. 그리터 = 45
3-3-8. 서가 = 46
3-3-9. 그외 비품 = 47
3-4. 마감재와 색채 및 조명 = 48
3-4-1. 천정 마감재 = 48
3-4-2. 벽체 마감재 = 49
3-4-3. 바닥 마감재 = 50
3-4-4. 마감재 색채 조사 = 51
3-4-5. 조명 조사 = 54
Ⅳ. 은행 영업점의 업무분리(SOD)에 따른 공간 구성 분석과 방향 = 56
4-1. ZONING에 따른 분석 = 56
4-1-1. 객장의 면적 변화 분석 = 57
4-1-2. 영업장의 면적 변화 분석 = 58
4-1-3. 자동화 코너의 면적 변화 부석 = 59
4-1-4. 부속실의 면적 변화 분석 = 60
4-1-5. VIP LOUNGE의 면적 변화 분석 = 61
4-2. 가구에 따른 분석 = 63
4-2-1. 자동화코너 기계수의 변화 분석 = 63
4-2-2. 카운터 개수의 변화 분석 = 65
4-2-3. 카운터 길이의 변화 분석 = 66
4-2-4. 카운터 배치 유형의 변화 분석 = 67
4-2-5. 고객 대기 공간 쇼파 배치 유형의 변화 분석 = 68
4-3. 마감재와 색채 및 조명 분석 = 69
4-3-1. 마감재 분석 = 69
4-3-2. 색채 분석 = 70
4-3-3. 조명 분석 = 71
4-4. 은행 공간분석에 대한 종합 = 72
Ⅴ. 결론 = 74
참고문헌 = 75
ABSTRACT = 7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건축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