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협력이 탐험적 및 활용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 : 시너지의 매개효과와 그릿(Grit),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bstract
- 기술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글로벌 기술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환경속에서 기업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혁신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라는 환경변화에 직면하게 된 중소기업으로서는 자원 부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생태계(ecosystem)의 시너지 효과를 이용하고 외부 기관과의 기술협력을 통한 개방형 혁신을 추구할 수 있는가가 성장의 관건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혁신의 유형을 수평적 기술협력, 수직적 기술협력으로 구분하고 혁신성과를 탐험적 혁신과 활용적 혁신으로 구분하여 혁신의 유형별로 두 가지 유형의 혁신성과에서 발생하는 차이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둘째, 생태계의 구조 속에서 기술협력이 시너지를 통하여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시너지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셋째 CEO의 그릿과 기업가정신이 기술협력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관인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에서 운영하는 2019년 연구개발서비스지원 사업의 R&D교육에 참석하는 155개 기업 재직자(연구자, 연구소장, CEO)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수집한 유효 설문지 130부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협력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평적 기술협력과 수직적 기술협력은 탐험적 혁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술협력이 활용적 혁신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시너지의 매개효과가 유의적으로 나온 경로는 '수직적 기술협력->암묵적 시너지->탐험적 혁신성과' 였다. 셋째 종속변수가 탐험적 혁신의 경우 그릿은 모든 협력 유형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 종속변수가 활용적 혁신인 경우는 수평적 기술협력*관심, 수직적 기술협력*관심, 수직적 기술협력*끈기 등 세 가지 상호작용항이 유의적으로 나와서 수평적 기술협력*끈기를 제외하고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종속변수가 탐험적 혁신인 경우는 수평적 기술협력*혁신성, 수평적 기술협력*진취성, 수직적 기술협력*위험감수성의 세 가지 상호작용항, 종속변수가 활용적 혁신인 경우는 수평적 기술협력*위험감수성 하나의 상호작용항이 유의적으로 나와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위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기술협력과 혁신성과의 관계에서 선행연구 결과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이들 관계를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기술협력을 파트너 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혁신성과를 탐험적 및 활용적 혁신으로 구분하여 기존에 사용한 재무성과(ROI, 매출액 등)가 아닌 질적성과로서 기술협력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각도로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기술협력과 혁신성과 간 관계에 CEO 특성 중 그릿과 기업가정신을 조절변수로 추가하여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이 포착하지 못한 의미를 확인하였다.
정책 및 실무적 시사점으로 첫째, 기업은 신제품 개발, 신기술 확보 등 탐험적 혁신의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외부파트너와 기술협력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수평, 수직 기술협력을 모두 추진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지원하기 위해 정부의 역할을 강조한다. 둘째, CEO의 그릿(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관심과 끈기)은 기업의 성공적인 성장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기관에서는 CEO의 그릿을 함양하고 강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해야한다. 이러한 연구성과에 기술혁신 정책에 풍부한 해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성과에도 추가연구의 필요성을 드러낸 한계도 지니고 있어 후속연구를 통해 이를 개선‧보완하고 해당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검증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 Author(s)
- 김경환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기술협력 혁신 탐험과 활용 그릿(Grit) 기업가정신 시너지 오픈이노베이션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6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8706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과학기술정책협동과정
- Advisor
- 이민규
-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5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8
1. 기술협력 8
가. 기술협력의 개념 8
나. 기술협력 파트너의 유형 12
다. 기술협력에 관한 이론 16
라. 기술협력 파트너의 다양성과 혁신성과 18
2. 혁신 20
가. 혁신의 개념 20
나. 혁신의 유형 22
다. 탐험적 혁신과 활용적 혁신 24
라. 혁신의 영향요인 27
3. 시너지(Synergy) 30
가. 시너지의 개념 30
나. 시너지의 유형 32
다. 기업생태계에서의 시너지 34
4. 최고경영자(CEO)의 특성 37
가. 최고경영자의 개념 37
나. 최고경영층 이론 38
다. 최고경영자 특성의 유형 40
라. 그릿(GRIT) 42
마. 기업가정신 49
III 연구의 설계 54
1. 연구모형의 설정 54
2. 연구가설의 설정 55
가. 기술협력과 혁신성과 55
나. 시너지의 매개효과 59
다. 그릿의 조절효과 61
라.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 63
3.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 66
가. 기술협력 66
나. 혁신성과 67
다. 시너지 67
라. 그릿 68
마. 기업가정신 68
바. 통제변수 69
4. 자료수집과 표본의 특성 69
5. 동일방법편의 72
6. 분석방법 73
IV 실증분석결과 75
1. 측정도구의 평가 75
가. 신뢰성 검정 75
나. 타당성 검정 77
2. 기술통계 분석 85
3. 상관관계 분석 87
4. 가설의 검증 90
가. 기술혁신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90
나. 시너지의 매개효과 92
다. 그릿 및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 96
5. 분석결과 요약 111
V 결 론 116
1. 연구결과 요약 116
2. 연구의 시사점 117
3. 연구 한계 및 보완 방향 122
참고 문헌 124
설문지 160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과학기술정책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