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부산사진사의 태동기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역사를 기록 한다는 것은 사실에 근거해야 한다.
더구나 사진의 역사란 사진가들의 작품을 통해서만 증명될 수 있다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 지나간 특정 시대의 기록성은 반드시 그 시대의 사회적 환경 위에 존재함으로 1930년∼1960년대의 사회적 변천으로 일제강점기, 해방, 6‧25동란의 큰 변화와 관계가 있다. 보는 그대로 있는 그대로를 담아내는 사진작업의 특수성으로 사진의 변화과정은 그 시대를 그대로 나타내 주고 있다.
부산사진은 지리적 입지조건으로 최초의 국제항으로 개항되어 외래문물의 유입이 자유로웠고, 6‧25 동란으로 각 처에서 모여든 피난민들로 자연스레 사진인 들의 전국적인 단합이 이루어져 1952년 「한국사진작가협회」가 발족된 것은 한국사진사에 있어 큰 의미가 있다.
초창기의 인물로 정식사진교육을 받은 정인성은 부산, 영남의 사진가들을 교육하고 사진발전에 평생을 바친 분으로 부산의 자랑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임 응식이 주창한‘생활주의’가 부산에서 전시한 「경인전선 보도전」에서 시작되었음도 한국사진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의미가 크다 하겠다.
1946년 아마추어단체인 「광화회」이후 「부산예술사진연구회」의 창립과 1967년 「청사회」, 「부산일요사진가회」등의 활동으로‘생활주의 리얼리즘’이 확장 및 다양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 연구된 몇 몇 사진가들은 풍부한 자료와 확고한 사진세계의 주장으로 사진경향의 변천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처음으로 부산사진의 역사를 연구함에 있어 자료의 미흡함이나, 또는 개인이 감히 방대한 자료를 찾아 나설 수 없었음에 고은사진미술관의 기획으로‘부산사진의 재발견’전을 준비하는 과정에 찾을 수 있었던 부분을 제공 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미 고인이 된 사진가의 자료 찾기였다, 앞으로 그 문제에 대한 사진계나 예술계의 제도적 마련을 기대하며 오랜 역사의 현장에서 작업한 그들의 작업이 헛되지 않기를 바란다. 이외에도 본 연구에 이어서 부산사진의 역사에 대한 계속적인 논문이 이어지길 차후 연구자들에게 기대해 본다.
Recording history must be based on a fact.
Moreover, the history of photographs place emphasis on the fact that it can be proven only through the works of photographers. The recordability of a specific past era must exist on the social environment of that era. Therefore, it is related to big change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as the social transition of the 1930s to 1960s. The uniqueness of photo work which instills the sight seen as it is, and as it stands, the process of change of photographs shows an era as it is.
The founding of the Photo Artist Society of Korea in 1952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photography as it naturally consists of a nation-wide unity of photographers from refugees gathering from all corners of the country due to the Korean War and the free inflow of foreign culture as Busan was opened as the first international port with its excellent geographical conditions.
Jeong In-seong who has received formal education in photography as a figure of the early days of Korean photography is the pride of Busan as he has educated Busan and Yeongnam photographers and dedicated his entire life to the growth of photography. Furthermore, the 'Life-oriented Realism' advocated by Im Eung-sik began in 'Gyeongin Frontline News Photograph Exhibition' exhibited in Busan, and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decorating the first page of the history of Korean photography.
The activities of 'Cheongsahoe' and 'Busan Sunday Photo Club' in 1967 and the founding of 'Busan Artistic Photo Research Club' after the amateur group, 'Gwanghwahoe' in 1946 served as the turning point for expanding and diversifying 'Life-oriented Realism.'
Several photographers studied in this thesis show the process of how photo trends transitions with their rich materials and their solid world of photography. Despite the lack of data or difficulty for an individual to find such an enormous amount of material in researching the history of Busan photos, it was possible to receive the materials that could be foun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Rediscovery of Busan Photos' planned by Goeun Museum of Photography.
The most difficult part of this study was finding materials of already deceased photographers. The providing of policies by the photo circles and art circles is anticipated regarding this issue, and there is a wish that their work at the scene of history was not in vain. Apart from this, there is anticipation in future researchers to continue theses on the history of Busan photograph.
Author(s)
나애경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7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5739
Department
산업대학원 인쇄및사진정보공학과
Advisor
정용석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방법 ‥‥‥‥‥‥‥‥‥‥‥‥‥‥‥‥‥‥‥‥‥‥‥ 2

Ⅱ. 본 론 ‥‥‥‥‥‥‥‥‥‥‥‥‥‥‥‥‥‥‥‥‥‥‥‥‥ 4
1. 부산에서 사진의 도입 ‥‥‥‥‥‥‥‥‥‥‥‥‥‥‥‥ 4
2. 부산사진의 여명과 확장 ‥‥‥‥‥‥‥‥‥‥‥‥‥‥‥ 6
1) 사진의 시작과 사진운동 ‥‥‥‥‥‥‥‥‥‥‥‥‥‥ 6
2) 공모전을 통한 사진발전 ‥‥‥‥‥‥‥‥‥‥‥‥‥‥ 7
3) 부산사진의 성향과 사진 활동 ‥‥‥‥‥‥‥‥‥‥‥ 10
3. 한국사진작가협회의 창립과 부산지부 ‥‥‥‥‥‥‥‥‥ 13
4. 아마추어 사진단체의 창립과 사진교육 ‥‥‥‥‥‥‥‥ 16
5. 부산사진사의 1930년대~1960년대에 활동한 사진가에 대한 연구‥‥‥‥‥‥‥‥‥‥‥‥‥‥‥‥‥‥‥‥‥‥‥ 20
1) 전기 리얼리즘사진-생활주의 리얼리즘 ‥‥‥‥‥‥‥ 21
① 정인성 ‥‥‥‥‥‥‥‥‥‥‥‥‥‥‥‥‥‥‥‥‥‥ 21
② 임응식 ‥‥‥‥‥‥‥‥‥‥‥‥‥‥‥‥‥‥‥‥‥‥ 23
③ 김광석 ‥‥‥‥‥‥‥‥‥‥‥‥‥‥‥‥‥‥‥‥‥‥ 25
2) 초창기의 기록사진 ‥‥‥‥‥‥‥‥‥‥‥‥‥‥‥‥‥ 26
① 김정석 ‥‥‥‥‥‥‥‥‥‥‥‥‥‥‥‥‥‥‥‥‥‥ 26
② 박기동 ‥‥‥‥‥‥‥‥‥‥‥‥‥‥‥‥‥‥‥‥‥‥ 27
③ 김복만 ‥‥‥‥‥‥‥‥‥‥‥‥‥‥‥‥‥‥‥‥‥‥ 28
3) 리얼리즘사진의 전성기 ‥‥‥‥‥‥‥‥‥‥‥‥‥‥‥ 29
① 최민식 ‥‥‥‥‥‥‥‥‥‥‥‥‥‥‥‥‥‥‥‥‥‥ 29
② 이준무 ‥‥‥‥‥‥‥‥‥‥‥‥‥‥‥‥‥‥‥‥‥‥ 32
4) 후기 리얼리즘 ‥‥‥‥‥‥‥‥‥‥‥‥‥‥‥‥‥‥ 33
① 배동준 ‥‥‥‥‥‥‥‥‥‥‥‥‥‥‥‥‥‥‥‥‥‥ 33
② 김석만 ‥‥‥‥‥‥‥‥‥‥‥‥‥‥‥‥‥‥‥‥‥‥ 36
③ 정영모 ‥‥‥‥‥‥‥‥‥‥‥‥‥‥‥‥‥‥‥‥‥‥ 37
④ 정정회 ‥‥‥‥‥‥‥‥‥‥‥‥‥‥‥‥‥‥‥‥‥ 38

Ⅲ. 결 론 ‥‥‥‥‥‥‥‥‥‥‥‥‥‥‥‥‥‥‥‥‥‥‥‥‥ 42

참고문헌 ‥‥‥‥‥‥‥‥‥‥‥‥‥‥‥‥‥‥‥‥‥‥‥‥‥‥ 45

사진도판 ‥‥‥‥‥‥‥‥‥‥‥‥‥‥‥‥‥‥‥‥‥‥‥‥‥‥ 48

정인성의 사진도판 ‥‥‥‥‥‥‥‥‥‥‥‥‥‥‥‥‥‥‥‥ 49
임응식의 사진도판 ‥‥‥‥‥‥‥‥‥‥‥‥‥‥‥‥‥‥‥‥ 50
최민식의 사진도판 ‥‥‥‥‥‥‥‥‥‥‥‥‥‥‥‥‥‥‥‥ 51
김광석의 사진도판 ‥‥‥‥‥‥‥‥‥‥‥‥‥‥‥‥‥‥‥‥ 52
김정석의 사진도판 ‥‥‥‥‥‥‥‥‥‥‥‥‥‥‥‥‥‥‥‥ 53
이준무의 사진도판 ‥‥‥‥‥‥‥‥‥‥‥‥‥‥‥‥‥‥‥‥ 54
박기동의 사진도판 ‥‥‥‥‥‥‥‥‥‥‥‥‥‥‥‥‥‥‥‥ 55
김복만의 사진도판 ‥‥‥‥‥‥‥‥‥‥‥‥‥‥‥‥‥‥‥‥ 56
배동준의 사진도판 ‥‥‥‥‥‥‥‥‥‥‥‥‥‥‥‥‥‥‥‥ 57
김석만의 사진도판 ‥‥‥‥‥‥‥‥‥‥‥‥‥‥‥‥‥‥‥‥ 58
정영모의 사진도판 ‥‥‥‥‥‥‥‥‥‥‥‥‥‥‥‥‥‥‥‥ 59
정정회의 사진도판 ‥‥‥‥‥‥‥‥‥‥‥‥‥‥‥‥‥‥‥‥ 60

그림도판

그림도판1-부산에서 사진의 도입 ‥‥‥‥‥‥‥‥‥‥‥‥‥ 5
그림도판2-부산사진의 시작 ‥‥‥‥‥‥‥‥‥‥‥‥‥‥‥‥ 6
그림도판3-국내 공모전과 국외 공모전 ‥‥‥‥‥‥‥‥‥‥‥ 7
그림도판4-개인전으로 사진세계의 확장 ‥‥‥‥‥‥‥‥‥‥ 12
그림도판5-한국사진작가 협회의 창립 ‥‥‥‥‥‥‥‥‥‥‥ 15
그림도판6-1930년대~1960년대에 활동한 사진가 연구 ‥‥‥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인쇄및사진정보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