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가 주관적 안녕감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bstract
- 본 연구는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평생교육 참여가 노인의 심리 정서적 문제 해결에 중요한 분야가 될 수 있으며,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277명의 60세 이상의 노인학습자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주관적 안녕감, 교육만족도 등을 설문조사하여 연구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학습자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동기, 주관적 안녕감, 교육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제활동은 참여함이, 학력은 대졸이상, 연령은 낮을수록, 평생교육 참여기간은 길수록 평생교육 참여 동기와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 참여 동기의 하위 변인 중 목표지향형 동기와 학습지향형 동기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활동지향형 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 참여 동기의 하위 변인 중 활동지향형 동기는 교육만족도의 하위 변인인 교육내용만족도에, 목표지향형 동기는 교육방법 만족도에, 학습지향형 동기는 교육담당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평생교육 참여율을 높이기 위하여 노인학습자의 목표와 요구를 꾸준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으로 학습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또한 노인들이 배우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여건을 조성하고 수준 높은 프로그램의 내용과 전문적인 강사 영입, 찾아가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무료수강 등의 지원으로 변화하는 학습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subjective well-being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n elderly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77 senior learners aged 60 or older who tak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y were surveyed and studied about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ubjective well-being,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of senior learners showed that economic activities participated, higher education education, and lower age. Second,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elderly learners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shows that goal-oriented motivation an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Third,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elderly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showed that activity-oriented motivations significantly affect educational content satisfaction, goal-oriented motivation on educational method satisfaction, an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on educator satisfaction. Conclusions drawn from these findings shall be consistently identified with the goals and needs of senior learners and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learning by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new programs accordingly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lifelong education.
- Author(s)
- 설희정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노인학습자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주관적 안녕감 교육만족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7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4341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
- Advisor
- 주동범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가.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6
나. 주관적 안녕감 6
다. 교육만족도 7
4. 연구의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9
1.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9
가. 노인 학습자의 개념 9
나.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10
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13
2. 주관적 안녕감 15
3. 교육만족도 17
4. 선행연구 고찰 21
가. 참여 동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21
나.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도의 관계 23
Ⅲ.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 및 방법 26
2. 측정도구 27
가.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척도 27
나. 주관적 안녕감 척도 29
다. 교육만족도 척도 30
3. 자료 처리 방법 31
Ⅳ. 연구결과 33
1. 변인의 기술통계 33
2. 개인적 배경별 인식의 차이 검증 34
가. 개인적 배경별 평생교육 참여 동기의 차이 34
나. 개인적 배경별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 40
다. 개인적 배경별 교육만족도의 차이 45
3.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주관적 안녕감 및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 50
가.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50
나. 하위변인 간 상관관계 51
4.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가 주관적 안녕감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3
가.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54
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6
Ⅴ. 논의 및 결론 61
1. 논의 61
가. 노인학습자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동기, 주관적 안녕감, 교육만족도의 차이 61
나.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 주관적 안녕감,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 68
다.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70
라.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71
2. 결론 및 제언 73
가. 결론 73
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75
참고문헌 77
Abstract 83
부록 85
1. 개인적 배경 85
2. 평생교육 참여 동기 척도 86
3. 주관적 안녕감 척도 87
4. 교육만족도 척도 8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교육컨설팅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