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Analysis on Shoreline Changes in the Long-term and Prediction of Future Variations in Respond to Climate Change at Hoeya River Estuary, Korea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의 하구 해안을 대상으로 과거 장기간 유사 발생과 해안선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미래 해안선 변화를 예측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지역은 진하 및 솔개 해수욕장으로, 이들 모래 해안선은 회야강 하구와 바다가 만나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유사량과 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해안선의 변화 사이의 상관성을 정립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먼저, 과거 장기간의 해안선 분석을 위해 1967년부터 2013년까지 약 45년 동안의 시기별 항공사진과 KOMPSAT-3 위성영상 총 10매를 이용하였다. 대상 해안선은 보정을 거친 영상으로부터 wet/dry 기법에 의해 추출하였고, 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 (DSAS) 에 의해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과거 진하해수욕장은 하구폐색, 해안선 침식과 같은 해안 지형의 불안정 문제가 심각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류제 건설, 준설, 그리고 양빈과 같은 인위적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변화하는 해안선의 적절한 관리 대책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해빈 모래의 공급과 이동, 유실에 대한 근본적 접근의 관점에서 과거 해빈의 면적 변화와 회야강의 유사유출 특성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위적 양빈을 수행하고 있는 진하해수욕장 남측 상단부 및 북측을 제외하면 결정계수 (R2) 가 0.7 이상으로 나타나 자연적 상태에서의 해빈의 생성과 유실은 유사의 유출에 의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앞선 분석 결과로부터 유사와 해빈면적 사이의 선형 회귀식을 산정하였으며,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시나리오하의 기후변화 및 토지피복변화를 적용하여 SWAT 모델로부터 예측된 미래 (2020s, 2030s, 2040s, 2050s) 유사량을 통해 미래 해안선 변화 추이를 정량적으로 예측하였다. 향후 해안선은 유사의 발생에 따라 계절적 침식 및 퇴적량의 차이가 매우 극심해 질 것이며, 장기간 연간 변화량의 관점에서는 현재 대비 침식이 계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연안의 관리를 위해서는 해양환경뿐만 아니라 해안선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역 하천의 유사유출 특성 등 해안선 변화 원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연친화적인 연안이용의 근본적인 관리방안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uthor(s)
황창수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79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415
Affiliation
부경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위성정보과학과
Advisor
최철웅
Table Of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
1. Backgrounds and Objectives 1
1.1. Backgrounds 1
1.2. Objectives 5
2. Previous Studies 6
2.1. Previous Studies in Shoreline Changes 6
2.2. Previous Studies in Climate Change 8
2.3. Previous Studies in Hydrological Model 10
3. Scope of Research 13
Chapter 2. Theoretical Background 17
1. Shoreline Definition and Detection 17
1.1. Shoreline Definition 17
1.2. Shoreline Extraction Based on Image 22
2. Shoreline Interpretation 25
2.1. Shoreline Changes and Impacts 25
2.2. 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 29
3. Hydrological Approach Under Climate Change 36
3.1. climate change 36
3.2. LULC 39
3.3. Hydrological Model 41
Chapter 3. Digital Shoreline Mapping and Analysis 50
1. Research Site 50
1.1. Hoeya River Basin 50
1.2. Jinha Beach 51
2. Mapping shoreline Position 53
2.1. Data description 53
2.2. Image Processing 54
2.3. Shoreline Detection 55
3. Shoreline Interpretation 60
3.1. Uncertainty 60
3.2. Digital Shoreline Analysis and System 61
3.3. Long-term Shoreline Change 72
Chapter 4. Hydrological Modeling 78
1. Input Data 78
1.1. Topographic and Soil Data 78
1.2. LULC Data 81
1.3. Hydrometeorological Data 86
2.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88
2.1. Streamflow 88
2.2. Sediment 91
3. Hydrological Behavior Under Climate Change 93
Chapter 5. Impacts of Future Climate Change on Shoreline 98
1. Correlation between Long-term Shoreline and Sediment 98
2. Future Shoreline Change 102
3. Impact of Seasonal Characteristics of Wave 109
Chapter 6. Conclusion and Future Work 117
1. Conclusion 117
2.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120
Reference 122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위성정보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