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sign of Urban Model for Disaster Safety based on IoT
- Abstract
- 안전도시의 개념은 1989년 9월 스웨덴 스톡홀롬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 “모든 인류는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누릴 동등한 권리를 가진다”라고 선언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는 산업화와 정보사회에 접어들면서 인구의 도시 집중화는 물론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도 점차 빈도와 강도가 심해지고 있다. 재해가 없는 도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해가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재해를 경감하거나 예방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재난과 관련된 안전도시 구축은 재난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방재시스템들이 발전하고 있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기반으로 방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IoT 기반의 방재 안전도시 모델을 제안한다. 방재 안전도시는 재해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재 대상시스템들을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크게 자연재해, 인적재난, 사회적재난에 대한 대상시스템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IoT 기술들의 활용에 대해 기술한다. 그리고 정부 또는 지자체 단위로 다양하게 구축되어 운영하고 있는 방재대상시스템들에 대해 수집한 정보를 얼마나 공유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IoT 기반 도시안전 지수 값을 설정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도시의 안전은 현재도 매우 중요하지만, 미래지향적 도시 안전 로드맵을 가지고 기존의 방재시스템과 향후 구축될 방재시스템의 연계도 도시안전에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고려한 도시안전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방향은 도시의 산업화와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의 규모와 횟수가 증가하고 있고, 대부분의 재해들이 도시를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도시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모델과 지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이 도시안전의 완전한 척도가 될 수는 없지만, 본 연구에서 시도한 IoT 기반의 방재 안전도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미래지향적인 방재 안전도시 구축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 Author(s)
- Ming Zhang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80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423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첨단정보과학및정보기술국제화협동과정
- Advisor
- 김창수
- Table Of Contents
- Lists of Figures
Lists of Tables
Abstract
Ⅰ. Introduction 1
Ⅱ. Related Work 4
2.1. Classification of Disaster 4
2.2. Disaster Prevention System Utilization of IoT 7
2.2.1.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9
2.2.2. Plant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 12
2.2.3. City Gas Safety Management System 13
2.3. Safety City System Density in Social Network 14
2.3.1. Features of Social Networks 15
2.3.2. Social Network Analysis Tools 16
2.4. Safety City Models and Index 19
2.4.1. WHO Safety City 19
2.4.2. Safety Index 24
Ⅲ. The Design of Relationship Model for Safety City and IoT 29
3.1. Response System for Disaster Type 29
3.2. Disaster Reponse System Classifications and Correlation Analysis 34
3.3. Situation of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Share DB System 43
3.3.1. Natural Disaster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Programme based on IoT 43
3.3.2. Share the Disaster DB System based on IoT 45
Ⅳ. Analysis of Safety City Index based on IoT 47
4.1. Analysis of IoT Utilization Density based on Disaster 47
4.1.1. Analysis of IoT and Disaster Density 48
4.1.2. Correlation of the Information with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50
4.1.3. Safety Index of the Model Future City 52
4.2. Analysis of Safety City Model based on IoT 53
Ⅴ. Conclusions 57
References 59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기타 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