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러시아제국의 아무르 수로 이용과 동아시아 팽창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utilization of Amur waterway and Expansion of Russian Empire into the Northeast Asia
Abstract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 러시아제국의 동아시아 팽창을 두고 '부동항 확보'라는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러시아의 동아시아 팽창에서 아무르 수로의 이용과 확보가 가졌던 중요성을 분석했다.
러시아인들이 아무르 수로에 처음 진입했던 시기는 17세기였다. 그러나 19세기까지 아무르 수로는 러시아에게 중요한 전략적 가치를 가진 지역은 아니었다. 하지만 19세기부터 대중(對中) 국경무역의 이익감소와 북태평양에 있는 러시아 거점 및 식민지의 취약성이 강조되면서, 러시아는 기존의 육로와 해로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교통로를 필요로 했다. 이때 아무르 수로가 주목받게 되었다.
교통로로 아무르 수로를 이용할 수 있는지를 밝히려는 많은 탐사가 이루어졌고, 결국 네벨스코이((Г. И. Невельской)와 아그테(Н. Х. Агте) 등의 탐사를 통해 아무르 강과 주변 지류가 근대적인 선박의 항해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를 확인한 무라비요프(Н. Н. Муравьёв-Амурский) 등의 러시아제국 행정관들은 아무르 유역에 행정구역과 군사 거점을 설치해 아무르 유역의 실질적인 점유를 준비했다.
이후 아무르 수로를 이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한 러시아제국은 푸탸틴(Е. В. Путя́тин)을 동아시아로 파견, 아무르 유역에서 근대적인 국경선 정립과 개항장무역 참여를 위한 대청(對淸)·대일(對日) 교섭을 시도했다. 그러나 유럽에서 크림전쟁이 발발하고 그 여파가 동아시아에도 미치게 되면서 푸탸틴의 활동은 중단되었다. 하지만 크림전쟁기간에 러시아제국은 아무르 수로를 이용, 동시베리아의 물자 및 군대를 태평양 연안과 아무르 강 하구로 수송할 수 있었고, 이 보급을 바탕으로 방어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아무르 강 좌안(左岸)과 우수리 강 동안(東岸)에 첫 번째 러시아인 민간인 이주자가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쟁이 소강상태에 들어서자 푸탸틴은 시급한 대일교섭을 재개했고, 마침내 일본의 개항과 사할린·쿠릴 열도에서 국경선을 정립할 수 있었다. 이후 크림전쟁이 끝나자 무라비요프와 푸탸틴은 청나라의 혼란스러운 내부사정을 이용해 청나라를 압박했고, 결국 아이훈조약과 톈진조약,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베이징조약을 통해 아무르 강 좌안과 우수리 강 동안의 엄청난 영역을 점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이 지역은 '러시아의 극동 지역'이 되어 현재까지 동아시아 속 가장 가까운 유럽으로 남게 되었다.
This thesis analyzed the importance of utilization and occupation of Amur waterways in Russia's expansion in Northeast Asia in the mid-19th century, based on the critical awareness that there is a part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logic of "Aquiring the Icefree port".
The first time the Russians entered the Amur waterway was in the 17th century. The 19th century, Amur waterway was not an area of significant strategic value for Russia. However, in the 19th century, Russia needed new transportation routes to replace the existing land and sea routes because of reduced interests of China's border trade and the vulnerability of Russia strongholds and colonies in the North Pacific. At this time, Amur Waterway was noticed.
Since then, explorations were made to determine whether the Amur waterway was available, eventually the exploration of Nevelskoi(Г. И. Невельской) and Agte(Н. Х. Агте) verified that the modern ships can sail in Amur waterways. After confirming this, the administrators of the Russian Empire, including Muravyov(Н. Н. Муравьёв-Амурский), established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military bases in the Amur Basin to prepare for the actual occupation of the Amur Basin.
After that, the Russian Empire dispatched Putyatin(Е. В. Путя́тин) in East Asia to negotiate for establishment of modern borders in the Amur Basin and participation in free trade in open port. However, diplomatic activities in East Asia were halted by the Crimean War.
In Crimean war, the Russian Empire was able to utilize Amur waterway to transport East Siberia's supplies and troops to Pacific coast and the mouth of the Amur River, which led to successful defensive operations. In the process, Russian civilians first migrated to the left bank of the Amur River and the eastern bank of the Usuri River.
As the war entered a lull, Putyatin resumed urgent negotiations with Japan. Finally, Japan opened its ports and established a border line in Sakhalin and Kuril Islands. After the Crimean War ended, Muravyov and Putyatin used the chaotic internal affairs of the Qing Dynasty to pressure them. Eventually the Treaty of Aihun, Tianjin, and the Treaty of Beijing allowed Russia to occupy a vast area along the Amur River and the Usuri River. Since then, the region has become the "Russian Far East" and remains the closest Europe in East Asia.
Author(s)
김종호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8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8410
Alternative Author(s)
Jong Ho Kim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사학과
Advisor
박원용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선행연구 4
3. 연구방향 7
Ⅱ. 러시아제국의 아무르 진출 배경 10
1. 19세기 이전 러·청의 전통적인 관계 속 아무르 강 10
2. 19세기 아무르 수로에 대한 인식 전환 배경 19
Ⅲ. 러시아제국의 아무르 탐사 29
1. 아무르 강 하구 탐색 29
2. 탐사 영역의 확대와 탐사의 공인 47
3. 아무르 수로 이용을 위한 행정적 준비 60
Ⅳ. 러시아제국의 아무르 점유 69
1. 푸탸틴의 대청(對淸)·대일(對日) 교섭 69
2. 크림전쟁시기 아무르 수로 이용 79
3. 아무르 유역 국경 확정 87
Ⅴ. 결론 101
참고문헌 10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사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