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확대에 따른 AEO 제도 활성화 방안
- Abstract
- 최근 국제무역의 흐름은 WTO를 중심으로 하여 자유무역협정(FTA)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세계적으로 무역량이 증가하면서 무역의 보안이 중요시 되고 있다. 2001년 미국의 9.11테러 이후 초창기 물류보안제도는 보안에 초점을 두었다. 보안을 중시한 제도는 리드타임이 지연되어 무역규제로 작용하게 되면서, 이를 보완하여 무역안전을 높이면서 원활한 무역활동을 위한 세계관세기구(WCO)에서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제도를 수립하게 되었다. AEO는 무역관련 업체들 중 WCO의 수출입 공급망(Supply Chain) 안전관리 기준 또는 이와 동등한 기준을 준수하여 자국 세관으로부터 공인 받은 업체로, 공인을 받은 업체는 무역거래시 여러 가지 혜택을 부여받게 된다. 우리나라는 2008년 AEO 제도가 도입된 이후 2013년 7월 31일 기준 476개 업체가 AEO 인증을 받았다.
확대되는 FTA시대에 AEO 제도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외국과 우리나라의 AEO 제도 이해 및 활용도를 분석함으로써 AEO 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기업들이 AEO 제도를 활용하여 국내·외에서 혜택을 받아 무역거래의 확대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Author(s)
- 장다영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86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485
- Affiliation
- 국제통상물류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 Advisor
- 조찬혁
- Table Of Contents
- 차 례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방법 및 구성 2
제2장 FTA의 의의와 AEO 제도 4
제1절 선행연구 4
제2절 FTA의 의의 6
1. FTA 의의 6
2. 우리나라 FTA 추진현황 8
제3절 AEO 제도 개요 9
1. AEO 제도 개념과 도입배경 9
2. AEO MRA제도 14
제3장 AEO 제도 현황 분석 18
제1절 한국 AEO 18
1. AEO 제도 현황 18
2. AEO 제도 공인업체의 혜택 21
제2절 주요국의 AEO 24
제3절 AEO 제도 효과 26
제4장 연구의 방법 28
제1절 연구대상 28
제2절 자료의 분석 방법 28
제5장 실증분석 및 연구결과 30
제1절 실증분석 30
제2절 연구결과 47
제6장 결론 및 한계점 4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