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lation structure and life history of Neomysis awatschensis (Brandt, 1851) (Crustacea: Mysidae) in Jeju Island, Korea
- Abstract
- 이 논문은 한국 제주도에 서식하는 까막곤쟁이(Neomysis awatschensis)의 개체군 구조와 생활사를 연구하였다. 까막곤쟁이는 제주도의 얕은 내만에서 2013년 5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월별로 채집되었으며 채집 시 수온과 염분은 측정되었고, 오조리 내만의 수온변화는 수온기록계를 이용하여 관측되었다. 곤쟁이의 크기는 갑각장과 평형석 직경을 측정하였다. 생활사는 6단계로 분류하였고, 보육낭 내 유생은 발달 단계에 따라 구분하였다. 제주 오조리 내만의 수온범위는 -0.27에서 35.67°C 였다. 수온은 1월에 -0.27°C 로 가장 낮았고, 8월에 35.67°C 로 가장 높았다. 갑각장과 평형석 직경의 범위는 각각 0.137에서 2.842mm, 30.7에서 199µm 였고, 평형석 직경은 갑각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온이 증가할 때 성숙개체들의 갑각장은 감소하였고, 수온이 감소할 때 성숙개체의 갑각장은 증가하였다. 암컷의 갑각장은 수컷의 갑각장보다 컸으며, 암컷의 비율이 수컷의 비율보다 높았다. 포란 암컷과 어린 개체는 연중 출현하였으며, 어린 개체의 풍도는 다른 달에 비해 5월, 7월, 12월 그리고 2월에 높았다. 보육낭 내 유생의 수는 포란 암컷의 갑각장 크기에 비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제주도 오조리에 서식하는 N. awatschensis가 1년동안 연중 산란하지만 4번의 주요 산란군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평형석 직경은 곤쟁이목의 갑각장을 대신할 수 있다.
- Author(s)
- 배재용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90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526
- Affiliation
- 해양생물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 Advisor
- 박원규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 Introduction
II. Materials and methods
2.1 Research site and sampling
2.2 Demographic and size structure
2.3 Population dynamics
2.4 Sex ratio
2.5 Size at sexual maturity
2.6 Marsupial contents
III. Results
3.1 Field observations
3.2 Relationship between carapace length and statolith diameter
3.3 Demographic and size structure
3.4 Population structure
3.5 Sex ratio
3.6 Size at sexual maturity
3.7 Marsupial contents
IV. Discussion
V. Acknowledgement
VI. References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