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Early Social Studies in Myanmar
- Abstract
- Abstract
본 연구는 미얀마의 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유아 사회교육에 대한 교수내용지식(PCK)을 탐색함으로써, 미얀마의 유아사회교육에 대해 이해하고 나아가 교육실천적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는 1) 미얀마 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교육의 목적 및 목표에 대한 교수내용지식은 어떠한가? 2) 미얀마 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교육의 내용에 대한 교수내용지식은 어떠한가? 이었다. 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을 수집하기 위하여, 미얀마의 양군 지역 등에 소재하는 19개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24명의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별 및 집단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자료의 전사와 코딩, 범주화 및 주제화 단계를 거치면서 자료를 질적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은 3가지 차원, 즉 자신, 사회, 자연이라는 3차원에 따라 유아사회교육의 목적 및 목표, 그리고 교육내용이 범주화 되었다. 즉 미얀마의 유아사회교육의 목적은 1) 선한 사람 되기 2)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기 3) 자연을 존중하기로 범주화 되었고, ‘선한 사람 되기’의 목적에 따라서는 종교적인 인격 가지기, 자기 단련하기, 자신감 가지기의 목표가 도출되었으며,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기’의 목적을 위해 다른 사람들과 사이좋게 지내기, 미래 사회의 훌륭한 시민 되기, 다양성을 존중하기의 목표가 나타났으며, ‘자연을 존중하기’를 위한 목적은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본적인 이해를 갖기의 목표가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도덕성, 보살핌, 자연에 대한 사랑 등이 각각의 목적 및 목표에 해당되는 교육내용으로 추출되었다.
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에 근거하여 살펴본 미얀마의 유아사회교육은 종교성, 다양성, 생태성이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으로 그 특성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미얀마의 국가수준 유아사회교육과정 및 관련 정책에 주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보완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 Author(s)
- May Mon Theint Oo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93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551
- Affiliation
-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Department
-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Advisor
- Kyeong Hwa Lee, Hee Yeong Lee
- Table Of Contents
- Contents
Abstract
Ⅰ. Introduction 1
1. Objective 1
2. Research problems 7
Ⅱ. Literature Review 8
1.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s of Myanmar 8
2.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Myanmar 13
2.1 Early Childhood Care and Development (ECCD) 14
2.2 Early childhood curriculum 16
3. Early social studies 18
3.1 Social studies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18
Ⅲ. Methodology 23
1. Participants 23
2. Data collection 25
3. Data analysis 26
Ⅳ. Results 28
1. Self-based early social studies in Myanmar: Toward becoming a good person 30
1.1 To have religious personality 31
1.2 To have self disciplines 32
1.3 To have self-confidence 33
2. Community-based Early Social Studies in Myanmar: Toward Building a Peaceful Society 34
2.1 To develop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s 35
2.2 To become a good future citizen 40
2.3 To respect diversity 42
3. Nature-based early social studies in Myanmar: Toward appreciating natural properties 46
3.1 To develop basic understanding dealing with ecological sustainability 47
Ⅴ. Discussion 51
References 60
Appendix 6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