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국립대학 생활관 건축계획 특성과 거주성 평가에 관한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Dwelling Evaluation of the Dormitory in the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국문초록

국립대학 생활관의 건축계획 특성과 거주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Dwelling Evaluation of the Dormitory in the National University

건 축 공 학 과 우 영 식
지 도 교 수 신 용 재

본 연구는 전국 국립대학의 28개 생활관을 대상으로 건축계획적 특성을 영역성 개념의 바탕으로 입지계획, 배치계획, 평면계획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보다 심층적인 시각에서 생활관 건축의 계획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영역에서 실태조사 및 제안적으로 설정된 평가지표별 이용자 의식을 분석하여 건축계획 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성과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국립대학 생활관의 유형별 실태를 분석한 결과, 건물형태로는 일자형과 ㄷ자형이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생활관 유형으로는 개실집약형이 가장 많은 사례를 이루고 있어 비교적 일률적이고 다소 획일화된 시설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생활관 유형은 각 대학의특성과 환경에 적합하고 다변적인 시설로의 계획이 요구되어진다.
둘째, 생활관의 입지계획과 관련하여 건폐율과 용적률이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주변건축과 조화롭지 못 하다라는 다소 부정적인 평가를 보이고 있어, 시설을 밀집시키거나 아니면 시설규모가 교지면적에 비하여 다소 클 경우에는 주변건물과의 전체적인 조화를 고려하여 생활관을 입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생활관 건축물의 용적율이 높다고 일방적으로 생활관의 혼잡밀도가 양호하다고는 볼 수 없지만, 생활관의 연면적은 충분히 확보해줌으로써 혼잡밀도를 줄여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생활관의 수용인원수가 많아질수록 생활관의 혼잡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에 생활관 일부를 분산시켜 입지 선정해 줌으로써 생활관의 혼잡밀도를 낮추어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생활관 시설 간의 시선은 실태조사에서 긍정 및 부정이 비슷하지만 생활관 외부로부터의 시선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공용부분 분산형이나 읍면소재 대학, 단과기술대학 등에서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배치계획 시 단순한 시설규모의 크기여부나 외부공간비율의 조정보다는 시선노출의 정도를 줄여줄 필요가 있다. 생활관의 혼잡정도도 학생수용률, 생활관인원수, 규모유형이나 공간비율 등의 크고 적음에 따라 인식되기보다는 공용부분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선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안전성과 관련하여 경비원보다 감시카메라의 설치요구가 다소 높으나, 읍면소재 대학이나 단과대학 등 소규모 대학의 경우 경비원을 요구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생활관 시설배치 시 대학유형별로 적용을 달리 해야 할 것으로 보아진다.
넷째, 생활관의 침실 선호형태는 단독침실보다 거실2>거실3 순으로 선호되어 거실에 딸린 침실수를 가능하면 줄여줄 필요가 있으며, 침실로의 접근성에서 EV홀>편복도>중복도 순으로 나타났지만, 거실을 둔 침실형태의 거실 진입정도는 EV홀>중복도>편복도 순으로 침실의 혼잡성과는 다소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어 거실중심의 침실배치 시에는 중복도 형식도 고려되어도 무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식사실은 단순한 식당규모의 확충을 하기보다는 식사회전율을 양호하게하고, 식사실 전반에 대한 시설의 질적 요구 성능을 향상시켜줄 필요성이 제기된다.


주요어 : 대학 생활관, 거주환경평가, 거주성, 건축계획 방향
Author(s)
우영식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198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600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건축 공학과
Department
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신용재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가. 연구의 배경 1
나.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8
가. 연구의 대상 및 범위 8
나. 연구의 방법 및 과정 9
3. 선행연구의 분석 및 검토 15

Ⅱ. 대학생활관 분석의 이론적 배경 21
1. 대학생활관의 일반적 특성 21
가. 대학생활관의 기원과 개념 21
나. 대학생활관의 공간기능 및 유형 23
다. 역할에 따른 공간 특성 28
라. 대학생활관의 주생활과 주의식 31
2. 시기별 변화특성 및 사례검토 38
가. 시기별 변화요인 38
나. 시기별 생활관 면적 변화 39
다. 시기별 수용인원 변화 41
라. 국외 대학생활관의 사례 분석 45
3. 생활관의 계획요소와 접근방법 고찰 47
가. 생활관의 계획요소 분류 47
나. 건축계획 요소설정의 접근방법 52
다. 건축계획의 평가요소 및 지표설정 57
4. 거주환경평가와 평가요인 설정 61
가. 거주환경평가의 개념과 이해 61
나. 거주환경의 평가방법 64
다. 거주환경평가 영향요인의 분류 67

Ⅲ. 대학생활관의 입지계획적 특성 분석 72
1. 조사대상 생활관의 물리적 현황 72
가. 시설현황 및 면적특성 72
나. 규모 및 밀도 특성 74
2. 생활관의 유형적 특성 분석 76
가. 유형별 분포 특성 76
나. 기숙시설의 유형별 특성 78
다. 식당시설의 유형별 특성 79
3. 시대별 변화추이 및 입지구조 분석 82
가. 시대별 변화추이 82
나. 입지구조 분석 84
다. 입지특성에 따른 이용실태 분석 87
4. 입지계획 평가요소 분석 89
5. 소 결 99

Ⅳ. 생활관 배치계획에 따른 이용자 평가 101
1. 영역성과 배치 101
2. 생활관의 배치구조 분석 103
가. 배치구조 103
나. 배치구조에 따른 교차분석 106
다. 평가항목 유의성 검증 109
3. 평가지표별 교차 분석 110
가. 쾌적성 관련 평가 110
나. 기능성 관련 평가 113
다. 밀도 관련 평가 114
라. 안전 관련 평가 117
4. 소 결 120
Ⅴ. 주요단위실의 유형별 거주성 평가 123
1. 평가의 개요 123
가. 대학생활관과 거주성 123
나. 평가대상의 유형화 및 평가지표 124
2. 유형별 실태 및 선호도 분석 126
3. 평가지표별 만족도 분석 130
가. 만족도 분석을 위한 독립변인 특성 130
나. 유의성 검증 132
다. 물리유형적 변인간 교차분석 133
4. 만족도 평가 분석 135
가. 침실 135
나. 거실 137
다. 식사실 139
5. 소 결 141

Ⅵ. 결론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건축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