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태적 기술수준평가를 통한 수산과학기술분야 기술성장 모형의 비교
- Alternative Title
- CAMPARISON OF TECHNOLOGY GROWTH MODELS IN FISHERY SCIENCE FIELDS USING DYNAMIC TECHNOLOGY LEVEL ASSESSMENT
- Abstract
- 본 논문은 기술성장모형 곡선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 평가의 일차적인 연구로서 일반적으로 기술수준평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Gompertz 성장곡선과 생물학, 인구학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성장모형들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목표는 조사한 성장곡선 모형들을 실제 수산과학기술 수준평가 사례에 적용하여 이들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박병무 외(2013)가 실시한 『수산과학기술 기술수준 평가』의 34개 소분류 중 기타를 제외한 33개 분야에 대한 설문 응답값을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Logistic, Log-Logistic, Log-Normal, Gompertz, Weibull 성장모형들을 이용하여 33개 기술분야 각각에 대해서 모수 추정과 이에 대한 타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후 각각의 기술분야별 성장곡선들의 형태를 알아보고 적합성 검정을 통하여 각각의 기술분야별로 가장 적합한 성장모형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Log-Normal 모형의 적합도가 최고기술보유국과 한국의 대부분의 기술분야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의수준 5%에서 최고기술보유국의 수산환경관리 분야에서는 Weibull 성장 모형만이 설명가능하고 어구개발, 수산정보관리 분야에서는 Gompertz 성장모형만이 설명력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에서 알아보았듯이 어떤 성장모형을 사용하면 설명력이 우수한가에 대한 물음에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각각의 과학기술에 대해 곡선적합(curve fitting)을 실시하고 통계적 검정 후 비로소 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동태적 기술수준평가는 궁극기술수준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며, 과거의 데이터가 부재한 상황에서 현재 및 미래시점의 설문 응답값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수산과학기술 각 기술분야별 전문가들에게 기술수준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조사한 성장모형들을 수산과학기술에 적용시켜 본 결과 향후에 있을 동태적 기술수준평가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성장모형을 사용하기 전에 심층적인 모형에 대한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 Author(s)
- 박주찬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00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628
- Alternative Author(s)
- Park, Ju Chan
- Affiliation
- 기술경영협동과정
- Department
- 대학원 기술경영협동과정
- Advisor
- 박병무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1.2 연구의 목표 3
1.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본론 4
2.1 기술수준평가 개요 4
2.2 기술수준평가 방법 4
2.3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한 동태적 과학기술수준평가 6
2.3.1 이론적 배경 6
2.3.2 성장곡선모형 7
2.3.3 동태적 과학기술수준평가의 사례 18
2.3.4 동태적 과학기술수준평가의 장·단점 22
2.4 분석 23
2.4.1 분석 대상 23
2.4.2 분석 방법 26
2.4.3 기술분야별 모형의 타당성검정 27
2.4.3.1 최고기술 보유국의 모형 타당성검정 27
가. 1-1-(1) 자원조사 분야 최고기술보유국 모형별 타당성검정 27
나. 1-1-(1) 자원조사 분야 최고기술보유국 모형별 곡선형태 33
다. 33개 기술분야에 대한 최고기술보유국 모형별 타당성검정 35
라. 33개 기술분야에 대한 최고기술보유국 모형별 곡선형태 35
2.4.3.2 한국의 모형 타당성검정 36
가. 1-1-(1) 자원조사 분야 한국 모형별 타당성검정 36
나. 1-1-(1) 자원조사 분야 한국 모형별 곡선형태 42
다. 33개 기술분야에 대한 한국 모형별 타당성검정 43
라. 33개 기술분야에 대한 한국 모형별 곡선형태 43
2.4.4 기술분야별 모형의 적합도검정 44
2.4.4.1 1-1-(1) 자원조사 분야에 대한 모형별 적합도 검정 44
가. 1-1-(1) 자원조사 분야 최고기술보유국의 모형별 적합결여검정 44
나. 1-1-(1) 자원조사 한국의 모형별 적합결여검정 45
2.4.4.2 33개 기술분야에 대한 모형별 적합도 검정 46
가. 33개 기술분야에 대한 최고기술보유국의 모형별 적합결여검정 46
나. 33개 기술분야에 대한 한국의 모형별 적합결여검정 52
Ⅲ. 결론 58
3.1 연구의 결과 58
3.2 연구의 한계 59
3.3 연구의 활용방안 60
참고문헌 61
(1) 국내 문헌 61
(2) 국외 문헌 62
부록 1. 최고기술보유국 33개 기술분야 모형별 모수추정 결과 63
부록 2. 최고기술보유국 33개 기술분야 모형별 곡선형태 72
부록 3. 한국 33개 기술분야 모형별 모수추정 결과 105
부록 4. 한국 33개 기술분야 모형별 곡선형태 11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기술경영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