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시대 케이블TV 지역채널 편성전략
- Alternative Title
- Cable TV local channel’s organization strategy in digital age : With western Gyeongnam area cable TV subscribers
- Abstract
- 디지털시대 케이블TV 지역채널 편성전략
: 서부경남지역 케이블TV 가입자를 중심으로
정치언론학과 곽재균
지도교수 이상기
이 연구는 다채널, 다매체로 특징짓는 디지털 시대를 맞아 지역채널의 운용과 편성이 케이블TV만의 차별화 요소로 자리잡기 위한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방송과 케이블TV 지역채널에 대한 이용자 인식, 이용행태, 이용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서부경남지역 진주시, 사천시에 거주하는 케이블TV 유효응답 200가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고 이용과 충족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했는데, 남성보다는 여성이, 사천지역보다는 진주지역이, 연령층별로는 50대 이상에서 가입기간과 시청시간이 길었다. 자체제작 콘텐츠로는 지역뉴스, 대담, 노래강좌 등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지역채널 시청은 생활에 도움되고, 방송으로서의 역할 등이 지역 지상파와 차별적이다는 인식이 강했다. 디지털 전환이 지역채널 시청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음악/공연, 스포츠/레저 등이 디지털 방송환경에서의 특화 요구 장르로 꼽혔다. 이용과 충족이론을 바탕에 둔 분석에서는 이용동기가 높을수록 인지된 가치(기대 가치)와 이용충족도가 높아지고 인지된 가치와 이용충족도가 높을수록 이용자 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용자 특성, 요구도, 지역성 실현 등의 편성전략을 통해 케이블TV 지역채널이 차별화 요소로 정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방송 매체로서의 역할을 위한 SO의 보다 적극적인 개선 노력과 케이블TV 지역채널 운영의 유연성, 개방성이 확보될 수 있는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주제어 : 디지털 방송, 케이블TV, 지역채널, 이용과 충족
Abstract
Cable TV local channel’s organization strategy in digital age
: With western Gyeongnam area cable TV subscribers
Department of Politics and journalism Jae-Gyun Kwag
Directed by Professor Sang-Khee Lee
The study is subjected to find a measure for a management and an organization of a local channel to settle as a distinctive feature in the digital era which is characterized by multi channel and multimedia. To achieve this, a survey of 200 Cable TV subscribers from Jinju-Si and Sacheon-Si of western Gyeongnam area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about what kind of elements affect user awareness, usage patterns and satisfaction about digital broadcasting and cable TV local channel. As a result of analyzing based on this survey and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he longer subscription period and viewing time was appeared from women than men, Jinju-Si than Sacheon-Si, and an age group of 50 or older. Local news, talk show, and singing lesson program from the self-produced contents showed high preference. And also there was a strong recognition that local channels are useful for living and the role of broadcasting is discriminatory from regional terrestrial broadcasting. Digital conversion had a significant impact to the local channels. And music/concert, sports/leisure, and other were mentioned as the demand for specialized genre in the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The analysis based on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verified that the higher usage motivation showed higher recognized value (expected value) and usage satisfaction, and the higher recognized value and usag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user attitude. Through the organization strategy such as user characteristics, requirement, realiz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o on, cable TV local channel can be established to a distinctive feature. For this, SO's aggressive efforts for improvement as a regional broadcasting media and the institutional maintenance that can secure the flexibility and openness of cable TV local channel management is required.
Keyword: Digital broadcasting, Cable TV, Local channel, Uses and gratifications
- Author(s)
- 곽재균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정치언론학과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01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632
- Alternative Author(s)
- Kwag, Jae Gy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정치언론학과 (신문방송학 전공)
- Department
- 국제대학원 정치언론학과
- Advisor
- 이상기
-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Ⅱ. 이론적 배경 5
제1절 디지털 방송환경 5
1. 디지털 방송환경의 변화 5
2. 디지털 케이블TV 도입 배경 7
3. 케이블TV의 디지털화 10
4. 케이블TV 지역채널의 역할과 기능 16
제2절 이용과 충족이론 20
1. 이용과 충족에 대한 이론적 접근 20
2. 미디어 이용 동기 23
3. 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
4. 선행 연구 27
Ⅲ. 연구방법 29
1.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29
2. 연구모형 및 가설 30
3. 측정도구 32
4. 분석방법 34
Ⅳ. 분석 결과 36
제1절 서경방송 시청자의 일반적 특성 36
1. 인구 통계적 특성 36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경방송 이용실태 38
제2절 이용과 충족의 주요개념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 43
1. 이용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44
2. 인지된 가치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46
3. 이용충족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47
4. 소비자태도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48
제3절 연구모형과 결과 49
1. 이용동기와 인지된 가치의 관계 50
2. 이용동기와 이용충족의 관계 51
3. 인지된 가치와 이용자 태도의 관계 53
4. 이용충족과 이용자 태도의 관계 54
제4절 서경방송 편성전략 56
1. 서경방송 디지털 케이블TV에 대한 선호요인 57
2. 디지털시대 서경방송 지역채널에 대한 선호요인 60
3. 서경방송 채널 및 콘텐츠 편성전략 70
Ⅴ. 결론 76
제1절 논의 및 결론 76
제2절 제언 및 향후 연구방향 81
참고문헌 83
영문초록 86
설문지 8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글로벌정책대학원 > 정치언론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