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종묘생산 초기단계의 적정먹이 및 급이율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Feed and feeding rate in early stage on seed production of the rockworm polychaete Marphysa sanguinea
Abstract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의 초기종묘단계의 생존은 바위털갯지렁이 양식생산력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시기에 높은 치사율을 방지하기 위해 알맞은 먹이원 및 사료 급이율 규명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생의 악치가 생기는 7일 전까지는 모든 구간에서 생존율 100%를 보였으며, 성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악치가 생기고 발생후 1개월까지는 탈각알테미아 구간에서의 생존율이 최대 66.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새우용 EP사료가 최대 54.9%, 혼합미세조류는 17.6%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2개월째는 탈각알테미아 구간에서의 생존율이 최대 43.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새우용 EP사료가 최대 30.4%, 혼합미세조류는 0.1% 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3개월째는 탈각알테미아 구간에서의 생존율이 최대 7.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새우용 EP사료가 최대 3.9%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성장 단계별로 보았을 때 치사율이 가장 높은 15~30일이었으며 이 시기에 탈각알테미아 75 mg/3000 inds 구간이 치사율이 가장 낮은 것이 보였다. 성장에 있어서는 최종 3개월째 탈각알테미아가 최대 42.2±5 chaetigers로서 새우용 EP사료의 최대 40.3±5 chaetigers 보다 미세하게 더 큰 성장 차이를 나타내었다. 먹이량 실험에서는 새우용 EP사료, 탈각알테미아 모든 구간에서 75 mg/3000 inds 구간이 가장 높은 생존율 및 성장도를 나타내었다. 먹이 공급주기 실험에서는 주 1회 먹이 공급이 자주 공급하는 것 보다 높은 생존을 보였으며, 15~30일 시기의 높은 치사율이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바위털갯지렁이 치충 초기단계의 사료로써 탈각알테미아 75 mg/3000 inds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공급주기는 1회/1주 간격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uthor(s)
김병권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협동과정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02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647
Alternative Author(s)
Kim, Byung Kwo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협동과정
Department
대학원 의생명융합공학협동과정
Advisor
김창훈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
2.1 Nectochaete기 적정 먹이 및 먹이효율조사
2.1.1 유생 채집
2.1.2 먹이구간 및 사육조건
2.2 Juvenile기 적정먹이 및 급이량조사(1차 실험)
2.2.1 유생 채집
2.2.2 사육수조 제작
2.2.3 먹이구간, 급이량 조사 및 사육조건
2.3 Juvenile기 적정먹이 및 급이량 정밀조사(2차실험)
2.3.1 유생 채집
2.3.2 사육수조 제작
2.3.3 먹이구간, 급이량 조사 및 사육조건
2.4 Juvenile기 먹이공급 주기 조사
2.4.1 유생 채집
2.4.2 사육수조 제작
2.4.3 먹이공급주기 및 사육조건
2.5 수질 분석
2.7 통계처리
3. 결과
3.1 Nectochaete기 적정 먹이 및 먹이효율조사
3.2 Juvenile기 적정먹이 및 급이량조사(1차 실험)
3.3 Juvenile기 적정먹이 및 급이량 정밀조사(2차실험)
3.4 Juvenile기 먹이공급 주기 조사
4. 고찰
4.1 Nectochaete기 적정 먹이 및 먹이효율조사
4.2 Juvenile기 적정먹이 및 급이량조사(1차 실험)
4.3 Juvenile기 적정먹이 및 급이량 정밀조사(2차실험)
4.4 Juvenile기 먹이공급 주기 조사
5. 요약
감사의 글
참고 문헌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의생명융합공학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