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예방환경디자인(CPTED)연구
- Alternative Title
-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Research
- Abstract
- 셉테드는 환경을 개선함에 따라 범죄발생 빈도가 내려간다는 개념에서 출발한 이론으로, 다양한 아이디어와 안전시설 등을 이용해 주거지역의 안전성, 쾌적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이다. 길에 보행자가 상황을 볼 수 있도록 반사경을 달아주는 것, 허름해진 조명을 개선하는 것, 그리고 고층 아파트의 엘리베이터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유리로 설치하는 것도 셉테드의 일종이다.
이처럼 셉테드는 단순히 어두운 골목에 CCTV와 조명을 설치하는 것부터 마을 전체를 설계 및 디자인하는 것까지 우리 사회 곳곳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결국, 셉테드는 범죄의 구성요소인 피해자, 범죄인, 장소기회의 상관성을 분석한 뒤, 환경의 물리적 설계를 실시하여 범죄 자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시민에게는 범죄에 대한 공포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심리적 평화와 안전감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범죄인에게도 심리적, 물리적으로 충동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부산시 서구 암남동 및 수영구 망미1동 일대를 중심으로 각 관공서들의 협조와 전문가들의 자문을 바탕으로 기술하였으며,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목표지역의 셉테드 환경디자인 추진에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 Author(s)
- 마성민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03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655
- Alternative Author(s)
- Ma, sung mi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Advisor
- 김철수
- Table Of Contents
- 목 차
요약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01
2. 연구의 목적 02
3. 연구의 범위 03
4. 연구의 방법 06
II 셉테드(CPTED)의 이론적 배경
1. 도입배경 09
2. 필요성 09
3. 셉테드의 중요성 인식 10
4. 셉테드의 주요원리 11
III 기초조사
1. 범죄발생 현황 14
1-1. 서구지역 14
1-2. 수영구지역 14
2. 사회인구학적 현황 15
2-1. 서구지역 15
2-2. 수영구지역 16
3. 물리적 현황 17
3-1. 서구지역 17
3-2. 수영구지역 21
4. 주민의견조사 23
4-1. 서구지역 24
4-2. 수영구지역 27
5. 종합분석 30
5-1. 서구지역 30
5-2. 종합분석 수영구지역 31
IV 세부조사 및 결론도출
1. 2차 물리적 환경조사 33
1-1. 서구지역 34
1-2. 수영구지역 41
2. 2차 주민의견조사 50
3. 상관관계 분석 50
3-1. 서구지역 50
3-2. 수영구지역 51
4. 종합분석 51
4-1. 서구 암남동 51
4-2. 수영구 망미1동 54
V 결론
1. 결론도출 56
1-1. 서구 암남동 56
1-2. 수영구 망미1동 57
2. 범죄예방 환경디자인전략 58
2-1. 서구지역 58
2-2. 수영구지역 59
3. 지역특성 솔루션 60
3-1. 서구지역 60
3-2. 수영구지역 61
4. 각 구간별 솔루션 62
4-1. 서구지역 62
4-2. 수영구지역 66
5.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 69
참고문헌 70
Abstract 75
부록 76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