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강우입자크기분포의 기후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SDs in Busan, Korea
- Abstract
-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 부산지역에서 POSS (Precipitation Occurrence Sensor System) 강수입자분석기로부터 약 4년간 (2001. 02. 24. - 2004. 12. 24) 관측된 강수입자분포 (이하 DSD) 자료를 활용하여 부산지역 DSD의 기후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관측된 DSD 자료에서 구한 정규 감마모델의 변수를 고위도 지역인 핀란드 자벤파에서 약 5년간 수집한 DSD의 평균값과 비교한 결과, 부산지역에서의 Dm (Median drop diameter)와 μ (Shape parameter)는 핀란드 자벤파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진 반면, 상대적으로 높은 Nw (Normalized intercept parameter)와 강우강도 값을 보임에 따라 부산은 핀란드 자벤파에 비해 작은 입자가 강수형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며, 상대적으로 해양성 기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부산지역 DSD의 기후학적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본 자료를 Bringi 등 (2003)이 저․중위도 내륙과 해안에 위치한 여러 지역의 평균 Dm과 Nw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태풍 사례를 제외한 모든 강수 사례에서 해양형 기후의 특성을 보였다.
관측 지역뿐만 아니라 강수시스템의 기원과 이동방향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는 DSD의 내륙‧해양형 기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강수시스템의 이동방향은 풍향에 의존적이라는 객관적인 사실을 기반으로 해안지역에서 발생되는 해륙풍을 이용하여 주‧야간에 따른 DSD의 일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기간에 대한 풍계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주간과 야간에서는 전반적으로 각각 해풍과 육풍이 발생하였으며, DSD 분석을 통하여 주간과 야간에는 각각 해양성과 내륙성 기후의 특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계절에 따라 다양한 강도와 패턴을 가지는 해륙풍에 따른 DSD의 기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계절별 DSD의 일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름철은 전체기간에 대한 일 변동성과 매우 유사한 패턴을 보인 반면, 겨울철 주간과 야간은 여름철과 달리 상대적으로 육풍과 해풍의 빈도가 각각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겨울의 주간에는 내륙성 기후의 특성이 증가하였으며, 야간에는 해양성 기후의 특성이 강화되었다.
- Author(s)
- 서성호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05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670
- Alternative Author(s)
- Suh, Sung-H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 Advisor
- 이동인
- Table Of Contents
- List of tables ⅱ
List of figures ⅲ
Abstract ⅵ
1. Introduction 1
2. Data and methods 6
2.1 Normalized gamma DSD 6
2.2 Quality control of POSS data 9
2.3 Radar parameters 17
2.4 Classification of rainfall type 19
2.5 Case classification 20
3. Results 23
3.1 Distribution of DSD and radar parameters 23
3.1.1 Distributions of DSD and radar parameters for four ears 23
3.1.2 Seasonal variations of DSD and integrated arameters 32
3.1.3 Variations of the DSD parameters with event and eriods 39
3.2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SDs in Busan 48
3.3 Diurnal variation of raindrop size distributions 52
3.3.1 Characteristics of diurnal variation for DSDs 52
3.3.2 Seasonal characteristics of diurnal variations for DSDs 61
4. Summary and Conclusion 71
References 74
Acknowledgements 8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환경대기과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