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세계지질공원으로서의 부산국가지질공원의 관리운영과 지질관광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management and geotourism of the Busan National Geopark to be a Global Geopark
Abstract
지질공원은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자원을 지역의 생물, 고고, 역사 및 문화자원과 연계하여 보전・교육 및 관광을 통해 지역경제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1월 자연공원법 개정으로 환경부장관이 인증하는 국가지질공원제도가 도입되었다. 부산국가지질공원은 2013년 12월 6일에 국내 세 번째로 인증을 받았으며 낙동강하구, 몰운대, 두송반도, 송도반도, 두도, 태종대, 오륙도, 이기대, 장산, 금정산, 구상반려암, 백양산의 총 12개 지질명소로 이루어져있다. 관리운영청인 부산광역시는 인증 이후 지질공원 관리를 위해 조례를 공포・시행 하였으며 다양한 홍보방안을 계획 중에 있다. 또한 해설사를 선발・육성・배치하는 등 교육 및 관광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 부산국가지질공원의 관리와 운영의 방향을 세계지질공원 인증에 두었을 때,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국내 유일의 세계지질공원인 제주지질공원, 대도시에 인접한 중국-홍콩지질공원, 해안에 위치하며 주민들이 참여하여 활동하는 일본-산인해안지질공원과 비교하였다.
부산은 세 개의 세계지질공원에 비해 도시 내에 위치하여 각 지질명소로의 접근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관광자원과 연계시켜 개발할 수 있는 등 도시 인프라가 이미 구축되어 있는 것이 강점이다. 하지만 각 명소별 담당 부처가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인 관리가 어렵고, 교육 및 관광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아직 미흡하다. 따라서 세 개의 세계지질공원의 사례를 부산에 적용시켜 교육 및 관광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의 관광지나 축제 등과 연계시켜 지역주민의 활동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관리의 효율성을 높여야하는 등 세계지질공원 인증에 필요한 주요 요소들에 대한 관리와 지질관광적인 측면에서 분석이 이루어졌다.
Geopark is to develop the local economy through conservation, education and tourism in conjunction with biological, archaeologi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of a major regional geological resources and character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introduced the National Geopark system in 2012. Busan National Geopark, 3rd National Geopark of Korea, is comprised of 12 geosites, Nakdong Estuary, Molundae, Dusong peninsula, Songdo peninsula, Dudo, Taejongdae, Oryukdo islets, Igidae, Mt. Jangsan, Mt. Geumjungsan, Orbicular gabbro and Mt. Baekyangsan.
Busan Metropolitan City, management agency of Busan National Geopark, is trying to utilize a variety of ways in Education and tourism like select guides and enact ordinance.
In this studypaper, Busan National Geopark was compared with 3 Global Geoparks, Jeju Geopark, China-Hongkong Geopark and Japan-San’in kaigan Geopark, in order to know the points that need to be compensated.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done in geotourism and management of major elements required for authentication Global Geopark.
Author(s)
이규림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08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699
Alternative Author(s)
Lee, Gyurim
Affiliation
부산광역시, 부경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환경과학과
Advisor
백인성
Table Of Contents
목 차

List of Figures ⅲ
List of Tables ⅴ
Abstract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부산의 지질 및 지형 배경 3

Ⅱ. 부산국가지질공원 현황 6
1. 국가지질공원 6
2. 부산국가지질공원 개요 9
3. 운영현황 11

Ⅲ. 세계지질공원 17
1. 인증 조건 및 현황 18
2. 세계지질공원 비교 대상지 23
가. 제주지질공원 23
나. 중국-홍콩지질공원 26
다. 일본-산인해안지질공원 31

Ⅳ. 세계지질공원과의 비교 분석 35
1. 지질 및 경관 37
2. 관리구조 38
3. 해설 및 환경교육 40
4. 지질관광 43
5. 지속가능한 지역경제발전 47
Ⅴ. 결론 50

참고문헌 52
요약 5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지구환경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