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수입자 원산지증명서 발급제도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the Efficient Utilizing Measures of Issuing System of Certificate of Origin for Importers : - Focusing on the utilizing status of imported goods through Korea-US FTA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미 FTA를 사례로 원산지증명서(이하, C/O) 발급주체에 따른 수입신고 특성과 차이를 분석하고 관련 제도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FTA 특혜세율 적용대상 물품 수입신고에 필요한 C/O는 발급주체에 따라 크게 생산자, 수출자, 수입자 C/O로 구분되는데, 이 중 한-미 FTA에서만 적용되는 수입자 발행 C/O는 물품의 신속한 업무처리로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의 장점과 수입자가 보관의무가 늘어나고 귀책사유가 발생하는 등 단점이 동시에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미 FTA발효이후 2년간의 특혜관세 적용 수입실적을 C/O 발급주체별, 기간별, 품목별로 분석하여 주요 활용/미활용 품목을 도출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그 원인을 파악하여 C/O 발급주체별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입자 발행 C/O 제도는 현재 한-미 FTA에서만 적용되고 있는 독특한 제도이나, 향후 우리나라가 체결할 FTA 협정에서 도입될 수 있으며 기존 발효협정에서도 추가로 도입될 가능성 또한 상존하므로, 본 연구의 성과는 국내 수입자가 이 제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uthor(s)
이경열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09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710
Alternative Author(s)
Lee, Gyeong Yeol
Affiliation
국제통상물류학과
Department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Advisor
이정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4
제3절 논문의 구성 6

제2장 FTA원산지 규정 및 선행연구 7
제1절 FTA 원산지 규정 및 협정관세 적용 7
1. 원산지규정 및 협정관세 적용 절차 7
2. 자료보관 규정 9
제2절 FTA 원산지제도에 관한 연구 13
1. 미국의 통관제도 13
2. 수입자 원산지증명제도 도입 배경 15


제3장 원산지 증명제도 고찰 및 대미 수입물품 특혜 현황 분석 18
제1절 증명제도별 특징 및 장단점 18
1. 원산지 증명제도 유형 및 특징 18
2. 수입자 원산지증명서 발급제도 장단점 25
제2절 특혜세율 활용현황 28
1. 발급주체별 원산지증명서 활용 현황 28
2. 품목별(HS CODE 2단위) 활용 현황 33
3. 기간별 활용율 변동 현황 43
제3절 특징 및 시사점 55
1. 주요 활용 품목 55
2. 주요 미활용 품목 56

제4장 수입자 증명제도 활용율 변동 사례 및 효율적 활용방안 57
제1절 활용율 변동업체 사례 분석 57
1. 활용율 증가 및 유지 업체 사례 57
2. 활용율 대폭 감소 업체 사례 58
제2절 시사점 및 효율적 활용방안 모색 60

제5장 결론 63
제1절 연구결과 및 시사점 63
1. 연구결과 63
2. 시사점 65
제2절 한계점 및 향후과제 67

6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