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양계초의 언론사상과 대한제국 언론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양계초의 언론사상과 대한제국 언론
-언론자유와 신문의 역할을 중심으로-
상세보
부경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요약
본 논문은 중국 근대시기 유신파계몽주의 지식인의 대표인 양계초가 중국의 정치·사회 및 문화 분야에서 개혁운동에 중대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구한말에 소개된 이후 개화기 애국계몽주의 지식인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음을 밝히고자 했다. 1896년 양계초는 황준헌(黄遵宪)과 함께 주필로서《시무보》를 창간하였다. 그는 신문의 성격과 기능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시하였다. 1898년12월23일, 그는 요코하마(横滨)에서 《청의보》와 《신문총보》를 창간하였다. 그는《청의보》에서 신문이 지켜야 할 이상적인 자세에 대해 제일 저명한 신문의 사대 준칙을 제출하였다. 첫째, 그 주지를 설정하여 높여나간다(宗旨定而高). 둘째, 신국민을 만들기 위해 외국의 문물과 이론들을 받아들여 새로운 사상을 만들어간다(思想新而正). 셋째, 자료를 풍부하게 해 여러 가지를 망라하며 선택을 엄격히 하여 한 글자를 읽더라도 반드시 유익함이 있도록 한다(材料富而当). 넷째 정확하고 신속하게 하며 없는 사실을 날조하는 것은 가장 금해야 한다는 것이다(报事确而速). 그는 신문을 국군(国君)의 귀와 눈, 국민의 입으로 비유하였다. 언론의 기능이 “소통”이라고 생각하였다.
양계초는 일본 망명 후 서구식 언론사상의 영향을 받아들여 중국의 실패원인을 여러 가지를 분석하여 서구문명의 수용을 제창하고 애국계몽사상을 고취한 많은 문장들에 대해 한문에 능통한 대한제국 지식인들도 크게 공감했다. 대한제국 언론사상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외래적 요인들 말할 때 주로 주목해온 것이 일본과 미국의 영향이다. 일본의 영향에 대한 관심은 최초의 근대신문인≪한성순보≫의 창간과정에서 박영효가 일본의 사상가 후쿠자와(福泽谕吉)의 권고로 신문 발행을 도울 일본인을 데리고 왔던 데서 비롯된 것이었다. 한편 미국 언론사조의 영향에 대한 관심은 ≪독립신문≫을 창간하고 독립협회운동을 주도한 서재필과 윤치호가 미국에서 교육을 받았고 이들의 언론에 대한 견해와 인식에서 구미의 자유주의 언론사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었다.양계초의 논의와 주장은 언론인과 일부 지식인만이 직접 접해 보던 데서 나아가 훨씬 확산되고 대중화되어 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양계초, 언론자유, 대한제국에 대한 인식, 신문, 소통, 신문체
Author(s)
상세보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대학원 신문방송학과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11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735
Alternative Author(s)
CHANG SHIFU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김영환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과 의미 2
3 연구방법 3

Ⅱ. 본론 5
제Ⅰ장 양계초의 생애 및 언론사상의 출현 5
1. 변법운동 실패 전의 언론사상 5
2. 일본 망명 후의 언론사상 9
3. 귀국 후의 언론사상 15

제Ⅱ장 양계초 주요 언론사상 17
제1절 소통사상 17
1. 소통사상의 출현 20
2. 신문체의 특징 22
3. 문체에관한 견해 28
제2절 언론자유 30
1. 중국의 언론자유의 출현 30
2. 양계초 언론자유사상의 형성 38
가. 언론자유의 주요 내용 40
나. 언론자유의 요구 44
제3절 언어 대중화 45
1. 언어 대중화에 대한 논쟁 46
2. 양계초가 만청 문학의 대중화에 미친 영향 48

제Ⅲ장 양계초의 언론사상이 대한제국 언론에 미친 영향 50
1. 대한제국 학자들의 양계초 수용 50
2. 양계초 언론사상의 영향 53
가. 언론자유에 관한 논의 54
나. 신문의 역할에관한 논의 55
1) 소통의 역할 55
2) 정치적 역할 58
3) 교육적 역할 60

Ⅲ. 결론 62

Ⅳ. 참고문헌 6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