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어분 대체원, 발효대두박을 이용한 넙치용 저어분 상업사료 개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the lower fishmeal commercial diet by using the fermented soybean meal as a fishmeal replacer in olive flounder
Abstract
본 연구는 넙치 사료 내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적정 첨가수준을 평가함으로써 넙치용 저어분 상업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1에 있어서, 일반 대두박과 발효대두박의 영양성분과 항영양인자 함량의 분석 결과, 발효대두박은 일반 대두박에 비해 높은 단백질과 저분자 펩타이드 함량을 보였으며, 트립신저해인자와 올리고당류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넙치를 대상으로 한 사육실험 결과 성장요인에 있어서 발효균주 Lactobacillus acidophilus(LA)를 사용한 발효대두박에서 다른 균주를 사용했을 때보다 유의하게 높은 생물학적 이용성을 보였다.
실험 2에 있어서, 증체율, 일간성장률, 사료효율 및 단백질전환효율의 결과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발효대두박의 적정 첨가 수준은 20∼30%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3에 있어서, 증체율, 일간성장률, 사료효율 및 단백질전환효율의 결과 성어기 넙치에 있어서 발효대두박의 적정 첨가 수준은 30∼40%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1. 넙치 사료내 4가지 다른 발효대두박의 평가
본 실험은 넙치에 있어서 4가지 다른 발효대두박 제품의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중에 유통중인 4가지 발효대두박 제품은 발효균주 Lactobacillus salivarius(LS), Lactobacillus acidophilus(LA), Bacillus subtilis(BS) 및 Bacillus subtilis & Aspergillus oryzae(B+A)가 각각 발효에 이용되었다. 일반 대두박과 발효대두박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트립신 저해인자, 라피노즈, 스타키오스, KOH 용해도, 외견상 소화율, pH, SDS-PAGE 및 펩타이드 함량 분석 결과, 발효대두박은 일반 대두박에 비해 높은 단백질과 저분자 펩타이드 함량을 보였으며, 트립신저해인자와 올리고당류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총 11주간의 사육실험은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4가지 다른 발효대두박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사료는 단백질함량과 에너지함량을 동일하게 하여 4가지 발효대두박 제품(FSMLS, FSMLA, FSMBS, FSMB+A)과 대조구로 대두박(SBM), 어분(CON)을 사용하여 실험사료를 제작하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143±0.4g (mean±SD)인 넙치를 사용하였으며 유수식으로 300L 사육수조에 20마리씩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총 11주간의 사육실험 결과, 증체율, 일간성장률, 외견상 소화율에 있어서 FSMLA 실험구는 어분대조구(CON)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넙치에 있어서 가장 높은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을 나타내는 실험구는 FSMLA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2.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연구
본 실험은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 되었다. 단백질과 에너지 함량이 동일하게 제작된 7개의 실험사료는 이전 연구에서 가장 높은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을 나타내었던 발효대두박(FSMLA)을 이용하여 어분단백질을 각각 0, 10, 20, 30 및 40%를 대체한 사료(FSM0, FSM10, FSM20, FSM20 및 FSM40)와 30, 40% 대체한 실험사료에 합성아미노산을 첨가한 사료(FSM30+AA 및 FSM40+AA)를 각각 제작하였다. 평균무게가 20.9±1.8g(mean±SD)인 치어기 넙치는 유수식으로 400L 사육수조에 25마리씩 3반복으로 수용하였다. 8주간의 사육실험 종료 후, 증체율, 일간성장율, 외견상 소화율에서 실험구 FSM0, FSM10, FSM20, FSM30 및 FSM30+AA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사료효율과 단백질전환효율에 있어서는 실험구 FSM0, FSM10 및 FSM20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발효대두박은 어분단백질을 20∼30%까지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3. 성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연구
본 실험은 성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단백질과 에너지 함량이 동일하게 제작된 5개의 실험사료는 각각 어분단백질을 발효대두박을 이용하여 0, 10, 20, 30, 및 40% (FSM0, FSM10, FSM20, FSM30 및 FSM40)를 대체하도록 설계하였다. 평균무게 449±0.9g(mean±SD)인 성어기 넙치를 유수식으로 10톤 사육수조에 115마리씩 2반복으로 배치하였다. 26주간의 사육실험 종료 후, 증체율, 일간성장률, 사료효율, 사료섭취율에 있어서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백질전환효율의 경우 FSM40 실험구에서 다른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지만, FSM0, FSM10, FSM20 및 FSM30 실험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사육실험의 결과 성어기 넙치에 있어서 발효대두박은 어분단백질을 치어기 넙치에 비하여 높은 수치인 30∼40%까지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어기 넙치는 치어기에 비해 높은 장내 소화효소 활성과 낮은 항영양인자 민감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넙치 성어를 대상으로 한 발효대두박의 연구는 처음으로 시도되는 연구로써 향후 상품사이즈까지 넙치를 생산함에 있어 어분을 대체할 수 있는 단백질 원료로써 발효대두박의 연구에 초석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uthor(s)
구자완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12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739
Alternative Author(s)
Koo, Ja Wa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수산생물학과
Department
대학원 수산생물학과
Advisor
배승철
Table Of Contents
Abstract i
List of tables v
List of figures viii

제 1 장 서 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5

제 2 장 재료 및 방법 6

실험 1. 넙치 사료 내 4가지 다른 발효대두박의 평가 6
1. 재료의 준비 6
2. 실험어 및 사육관리 8
3. 실험사료 및 실험설계 8
4. 어체측정 9
5. 성분분석 13
6. 소화율측정 16
7. 통계처리 17

실험 2.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연구 18
1. 실험어 및 사육관리 18
2. 실험사료 및 실험설계 18
3. 어체측정 21
4. 성분분석 21
5. 소화율측정 22
6. 통계처리 23

실험 3. 성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연구 24
1. 실험어 및 사육관리 24
2. 실험사료 및 실험설계 24
3. 어체측정 28
4. 성분분석 28
5. 통계처리 30

제 3 장 결 과 31

실험 1. 넙치 사료내 4가지 다른 발효대두박의 평가 31
1. 발효대두박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조성 31
2. 발효대두박의 항영양인자 및 기타 조성 34
3. 성장도 조사 38
4. 어체 조성의 변화 41
5. 소화율 측정 45

실험 2.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연구 47
1. 성장도 조사 47
2. 어체조성의 변화 50
3. 소화율 측정 53

실험 3. 성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연구 55
1. 성장도 조사 55
2. 어체조성의 변화 58

제 4 장 고 찰 62

실험 1. 넙치 사료 내 4가지 다른 발효대두박의 평가 62
실험 2.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연구 72
실험 3. 성어기 넙치에 있어서 어분대체원으로서 발효대두박의 효과연구 76

제 5 장 요 약 80

감 사 의 글 83

참 고 문 헌 85

부 록 (Raw data) 100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산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