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경관과 지질유산에서 구조지질적 접근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Abstract
- 지질관광(Geotourism)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질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지질유산과 자연경관에 대한 기존연구에서는 구조지질학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지질관광자원을 접근하는데 있어서 구조지질학적인 요소도 필요하다. 지질관광자원에 대한 지질구조적인 접근을 위해서 전라남도 해남 우항리 공룡 화석지, 경상북도 의성 제오리 공룡 화석지, 미국 아치스 국립공원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해남 우항리 공룡화석지에는 대형 공룡 발자국을 중심으로여 나타나는 방사상의 단열, 솟아오른 둔덕, 미끌림 흔적과 같은 구조적인 특징들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발자국 주변으로 나타나는 단열들의 상대적인 생성 시기 및 특징들을 해석하였고, 발자국 생성당시의 환경이 반취성의 특징을 보인다는 것을 유추 하였다. 의성 제오리 공룡화석지에서는 화석지에 발달하고 있는 단열들에 대한 연구를 했는데, 노두에서 관찰되는 단열들이 단층 진화와 관련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노두 발달에 대한 해석을 하였다. 아치스 국립공원에서는 아치를 생성시키는 선택적 풍화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습곡, 단열, 변형띠가 있으며, 생성요인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였다. 이번 연구는 지질유산과 자연경관을 연구함에 있어서 구조지질학적인 시각으로 접근을 시도한 논문으로 이를 통해 유산이 갖는 구조지질학적 요소를 조명하였다.
A structural geological study of certain natural resources of tourism can provide another perspective to appreciate those tourist attractions by understanding their origin and development. This paper offers such instances of structural geological approaches to a few geotourism resources: the dinosaur track site in Uhang-ri, Haenam-gun, Jeollanam-do; the dinosaur track site in Jeo-ri, Euiseong-gun, Gyeongsangbuk-do; and Arches National Park in the U.S. In the Uhang-ri site, around each footprint are found such structural features as radial fractures, bulges, and slide marks. The features indicates that the tracks were formed on a semi-brittle layer. In the Jeo-ri site, an outcrop containing fractures provides evidences of how the site has been formed through the collapse of Mt. Geuseong and the following tilting. The arches in Arches National Park reveals various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folds, fractures, and deformation bands, and thus they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 terms of the control factors including erosion. Consequently these three cases exemplify that there is room for reviewing existing resources by structural geology to enrich geotourism.
- Author(s)
- 김용형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16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779
- Alternative Author(s)
- Kim, Yong Hyeo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과학과
- Advisor
- 김영석
- Table Of Contents
- 목 차
목차 i
List of Figures v
Abstract x
1. 서론 1
2. 해남 우항리 대형 공룡발자국 화석 주변에 발달하는 변형특성을
이용한 고환경과 단열 생성원인 해석 2
2.1. 해남지역의 지질개요 5
2.2. 연구방법 8
2.3. 우항리 공룡발자국 주변에서 관찰되는 특이 지질구조 9
2.3.1. 방사상으로 나타나는 단열 11
2.3.2. 솟아오른 둔덕 11
2.3.3. 미끌림 흔적 13
2.4. 연구지역에서의 단열발달 특성 16
2.4.1. 일직선상의 단열 16
2.4.2. 방사상의 단열 16
2.5. 토의 19
2.5.1. 발자국 주변의 특이구조와 형성시기 19
2.5.1.1 발자국 주변 단열의 생성시기 19
2.5.1.2 솟아오른 둔덕 20
2.5.1.3 미끌림 흔적 21
2.5.1.4 발자국 바닥의 별모양 구조 22
2.5.2. 단열 발달사 22
2.5.3. 발자국 생성환경 23
2.6. 결론 26
3.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의 지질구조 28
3.1. 의성지역의 지질개요 29
3.2. 노두 관찰 및 기재 31
3.3. 단열 발달 특성 33
3.5. 결론 36
4. 미국 아치스 국립공원 아치들의 생성조건에 따른 분류 37
4.1. 아치스 국립공원 일대의 지질개요 39
4.2. 아치선정 및 관찰 42
4.2.1. 선정된 아치들의 위치 42
4.2.2. 아치 주변에서 나타나는 지질구조 45
4.3. 아치들의 발달 특성 해석 49
4.3.1. 습곡규제 49
4.3.2. 단열규제 53
4.4. 아치들의 규제 요인에 따른 분류 56
4.5. 토의 60
4.5. 결론 63
5. 토의 및 결론 65
참고문헌 66
요약 70
감사의 글 7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