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계 자동차기업의 현지진출 전략에 따른 노동 이주자의 문화 적응 양상에 관한 연구: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체코 내 진출한 아시아계 자동차기업을 대표하는 현대자동차와 도요타와 그들이 진출한 도시를 대상으로 한다. 아시아계 두 기업의 현지 내 가치사슬 거버넌스 유형을 분류하고 그 결과 나타나는 모국 인력들의 이주 규모를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현지적응을 하면서 보이는 적응 양상을 파악해 기업의 가치사슬 거버넌스에 따라 형성되는 이주 인력들과 도시 간 상호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현대자동차와 부품 기업의 동반 진출과 같이 본사의 가치사슬이 그대로 이전되는 것은 흔한 사례가 아니다. 따라서 현대자동차와 TPCA를 비교해 각 도시에서 이주 인력과 도시 간에 나타나는 결과를 분석한다면, 이후 국내 기업들이 현지진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어떤 가치사슬의 형태가 유리할지 예상해 볼 수 있다. 또 현지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갈등을 대비하고 그에 맞는 정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국적 기업의 이주 인력들이 현지에서 보이는 양상과 도시와의 관계에 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3가지를 연구 목적으로 한다. 첫째, 두 기업의 생산방식에 따른 현지진출 전략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현지 내 가치사슬 거버넌스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둘째, 가치사슬 유형에 의해 결정되는 이주 인력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이주 인력의 양상이 도시와 상호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자 한다.
두 기업이 현지에서 보이는 가치사슬의 형태와 관리는 본사로부터 이주 인력의 규모와 양상을 결정짓는다. 즉, 기업들의 현지진출 전략에 따라 현지 내 가치사슬 의 모습과 그 관리 형태를 결정짓는다. 이는 본사로부터 이주 되어야 할 단기 이주 인력들의 규모와 양상에 영향을 주며, 이주한 인력들은 현지 사회와 문화적 상호작용을 이루는가에 따라 도시에서 비치는 모습이 달라진다. 현대자동차의 사례처럼 이주 규모가 크고 적극적으로 문화적 상호작용을 할 경우, 비록 세계 도시의 한인 타운에 비해 규모는 매우 적으나 한인만의 네트워크를 유지하면서도 현지 사회와 적극적으로 교류한다. 반면, 토요타의 경우와 같이 이주 규모가 작고 현지 사회와의 교류가 전혀 없이 분리되어 생활한다면, 도시 내 이주 인력들의 입지는 낮고 문화적 교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 Author(s)
- 최서리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1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8526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글로벌지역학과
- Advisor
- 박상현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1
2.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3
1) 체코의 자동차산업에 관한 연구 3
2) 해외주재원 현지적응 양상에 관한 연구 4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6
1) 연구대상 6
2) 연구방법과 분석 틀 7
4. 논문의 구성 9
Ⅱ. 이론적 고찰 10
1. 글로벌 가치사슬 거버넌스 유형 10
2. 문화적응이론 11
Ⅲ. 체코의 자동차산업 투자 환경과 아시아계 자동차기업의 진출 양상 16
1. 체코 자동차산업의 발전 역사 16
2. 유럽통합 이후 체코의 지경학적 위치 19
1) 전략적 위치 19
2) 기술에 특화된 노동력 20
3. 개혁개방 이후 외자 유치 전략 24
1) 체코 정부의 스코다 오토 민영화 24
2) 투자 유치 행위자로서 체코투자청(CzechInvest) 25
3) 체코 정부의 유인책 26
4. 체코 자동차산업 내 해외 자본의 진출과 아시아계 기업 28
1) 자동차산업 내 해외 자본의 진출 현황 28
2) 아시아계 자동차기업의 진출 29
Ⅳ. 아시아계 자동차기업의 가치사슬 거버넌스 유형에 따른 이주 인력의 규모와 양상 32
1. 본국 생산방식의 현지 이전 32
1) 현대자동차 생산방식과 해외 이전 32
2) TPS(Toyota Production System)와 해외 이전 36
2. 가치사슬 거버넌스 유형의 차이 39
1) HMMC의 동반 진출에 따른 가치사슬 거버넌스 유형 39
2) 합작투자 회사 TPCA의 가치사슬 거버넌스 유형 45
3. 입지 전략의 차이 50
4. 가치사슬 내 노동력 활용 방식 52
Ⅴ. 단기 이주 인력의 문화 적응과 도시 57
1. 가치사슬 거버넌스에 따른 본국 이주 인력 규모와 양상 57
1) 전속형 HMMC의 대규모 이주 57
2) 모듈형 TPCA의 소규모 이주 60
2. 두 기업의 단기 이주 인력 문화 적응 양상 64
3. 기업 이주 인력과 도시의 문화적 상호작용 : 지역 축제를 중심으로 68
Ⅵ. 결론 7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글로벌지역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