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지역 변성퇴적암류의 저어콘 연대 분포와 그 의미
- Alternative Title
- SHRIMP U-Pb age distributions of the zircons from the meta-sedimentary rocks in the Pyeongchang area and their geologic implications
- Abstract
- 영남육괴에 발달한 영월-태백지역의 고생대 퇴적분지의 서쪽에 위치한 평창 일대에는 선캠브리아기 기반암과 고생대 퇴적암층 사이에 아직까지 시대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은 변성퇴적암인 방림층이 분포한다. 이 연구는 방림층을 중심으로 이 지역 변성퇴적암 중의 쇄설성 저어콘들에 대해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이 지층들의 퇴적시기와 층서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지역의 변성퇴적암들은 대부분 석영편암 및 녹니석-백운모 편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역에 따라 결정질 석회암이 산출된다. SHRIMP 분석 자료들을 저어콘의 내부 구조 특성과 연관지어 해석한 결과, 한 개의 녹니석-백운모 편암 시료에서 분석한 쇄설성 저어콘을 보면 중원생대, 신원생대 연령에 집중됨을 알 수 있고 고원생대 연령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신원생대의 연령 중에서 일치곡선 상에 집중되어 놓이는 연령군은 약 1000Ma와 680Ma이다. 그리고 가장 젊은 연대는 약 454Ma로 이 연대를 통해 방림층의 퇴적시기는 454Ma 이후일 것이며 한반도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의 쇄설성 저어콘의 연대분포 양상을 비교 해본 결과, 경기육괴 남서부에 분포하는 태안층과 옥천변성대의 북동부의 피반령단위(unit), 대향산층, 태백산분지의 삼방산에 대비될 수 있고 동일한 기원으로부터 퇴적물이 공급되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arried out SHRIMP U-Pb age dating of the zircons from the Precambrian basement and overlying metasedimentary rocks distributed in the Pyeongchang area of the north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Analyses from detrital zircons from Bangrim Formation in Pyeongchang area yield a predominant age population of Mesoproterozoic, Neoproterozoic. The youngest detrital zircon age with clusters on Concordia curve is 454 Ma. This data indicate that sedimentation of Bangrim Formation should have occurred after Ordovician.
The age distribution patterns of detrital zircons are analogous to those of the Taean Formation reported from the western part of the Gyeonggi Massif and the Pibanryeong Unit reported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Ogcheon Metamorphic Belt(OMB).
- Author(s)
- Mu-Seong Gwak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21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837
- Alternative Author(s)
- 곽무성
- Affiliation
- 지구환경과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과학과
- Advisor
- 송용선
- Table Of Contents
- 목차
List of Figures
List of Tables
Abstract
Ⅰ. 서 론
Ⅱ. 지질개요
평창지역
Ⅲ. 암석기재
1. 편마암복합체
2. 방림층
3. 안미리층군
4. 대석회암층
5. 평안누층군
6. 쥬라기 화강암
Ⅳ. 연구방법
1.1 주원소 분석
1.2 SHRIMP 분석
Ⅴ. 결과
1. 주원소분석 결과
2. 저어콘 형태와 내부구조
2.1. 편마암 복합체
2.2 방림층
3. 연대측정 결과
3.1 편마암 복합체
3.2 방림층
Ⅵ. 토의
1. 편마암 복합체
2. 방림층
Ⅶ. 결론
Ⅷ. 참고문헌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