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온라인 기반의 실시간 디자인 실습교육을 위한 가상공간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Building a Virtual Space System for Online-Based Real-Time Design Practice Training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새로운 교육의 한 형태로 자리 잡은 비대면 교육 중 디자인 실습교육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물리적 접촉이 불가능한 대학 교육현장 중에서 실습교육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세스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고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할 때 변화된 교육 방식에 적응하기 위한 대비 방안으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최근 진행되고 있는 온라인 기반의 디자인 실습교육에 관한 현황파악과 학습자의 경험, 교육자의 국내외 운영 사례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온라인 기반의 디자인 실습교육 프로세스를 도출하여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비대면 디자인 실습교육에서 학습자와 교육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디자인 실습교육을 위한 가상공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론적 고찰에서는 디자인 실습교육의 실제적인 교육 프로세스를 도출하기 위한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에 디자인 교육의 역사 및 한국디자인 교육의 변천사 그리고 현재 디자인 교육에서 운영하고 있는 디자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메이커 교육에 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기반의 효과적인 디자인 실습교육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사이버대학에서 운영되는 디자인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와 온라인 기반의 디자인 교육 모형 사례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시대 및 비대면 시대의 교육으로 떠오르는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였다. 또한, 가상공간을 활용하여 디자인 실습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가상공간에서 재현 가능한 현실 세계에 대한 개념 정리와 이를 통한 비대면 교육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전환될 때 더욱 효과적인 디자인 실습교육의 운영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대학에서 운영되는 디자인 교육 및 교과과정, 디자인 실습교육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 코로나 19로 인해 전환된 비대면 디자인 실습교육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학습자와 운영하는 교육자의 인터뷰, 설문 조사를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비대면 교육의 문제점과 디자인 실습교육에 따른 구체적인 대응 사항을 도출하였다. 또한, 온라인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국외의 다양한 실습교육 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비대면 디자인 실습교육의 운영방안을 제안했다.

셋째, 현황 조사를 통해 학습자와 교육자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디자인 실습교육을 위한 실용적 교육방법을 추출하여 디자인 실습교육을 위한 가상공간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가상공간은 학습자와 교육자 상호 간의 디자인 실습교육 과정에 있어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는 공간 조성을 위해 설계되었고 이는 다양한 기기를 활용하여 수업을 운영하는 교육자와 최소한의 교육장비를 활용하여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교육자는 학습자에게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다양한 자료들을 다각도의 시점으로 제공하는 환경을 구성하였고 학습자는 교육자에게 진행되고 있는 실습 과정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교육자가 이를 즉각적으로 확인하며 서로 간의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설계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구축된 가상공간 시스템에 관한 사용자 평가를 시행하여 교육자가 운영하는 가상공간에 설계된 시스템 조작에 관한 평가를 진행한다. 이에 시스템 조작에 관한 만족도, 효과성 효율성이 높은 가상공간 조성에 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또한, 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한 결과로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 구축된 가상공간 시스템이 향후 효과적인 온라인 기반의 실시간 디자인 실습교육에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는 연구로 진행하였다.
Author(s)
김지혜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Keyword
디자인 실습교육 가상공간 디자인학과 비대면 교육 코로나 19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2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8260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홍동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8
3. 연구 방법 9
4. 연구 구성 12
Ⅱ. 이론적 고찰 13
1. 디자인 교육 13
1) 디자인 교육의 역사 17
2) 한국의 디자인 교육 25
3) 디자인 사고에 따른 메이커 교육 31
2. 온라인 기반의 디자인 교육 35
1) 사이버대학에서의 디자인 교육 36
2) 온라인 기반의 디자인 교육모형 사례 42
3) 에듀테크를 활용한 수업 방법 47
3. 가상공간에서의 활용방안 53
1) 가상공간에서 재현 가능한 현실 세계 54
2) 가상공간을 통한 비대면 교육의 가능성 59
Ⅲ. 대학에서의 디자인 교육 현황 62
1. 디자인학과의 교육 현황 62
2. 디자인학과의 교과과정 63
Ⅳ. 비대면 환경에서의 디자인 교육 72
1. 비대면 디자인 실습교육 현황 72
2. 비대면 디자인 실습교육의 운영 사례 86
3. 비대면 실습교육에 관한 국외사례 90
4. 비대면 디자인 실습교육의 운영방안 제안 97
Ⅴ. 디자인 실습교육을 위한 가상공간 설계 및 구현 99
1. 가상공간 시스템의 구조 99
1) 학습자 시스템 100
2) 교육자 시스템 102
2. 가상공간 구축 104
1) 교육자의 외부환경 시스템 구축 104
2) 가상공간 내부환경 구축 107
Ⅵ. 가상공간을 활용한 디자인 실습교육 114
1. 교육자의 가상공간 시스템 조작에 따른 사용자 평가 114
1) 시스템 조작에 관한 과업 수행 114
2) 과업 수행의 분석결과 119
3) 시스템 사용성에 따른 사용자 평가 124
4) 시스템 사용성에 따른 분석결과 126
2. 학습자의 가상공간 활용에 따른 사용자 평가 129
1) 사용자 평가 개요 129
2) 사용자 평가방법 132
3) 분석결과 133
Ⅶ. 결론 138
Abstract 142
참고문헌 145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