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순원가법의 분석과 한국 자동차 기업의 활용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An Analysis of Net Cost Method in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and It's Application Scheme to the Korea Auto Industries
- Abstract
- 본 연구는 2013년 관세청에서 미국 자동차기업에 대하여 실시한 원산지검증 과정에서 확인된 사실과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미 FTA의 순원가법을 실체적로 분석하고, 그 내용을 우리 자동차기업에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제법을 중심으로 부가가치기준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그 속성을 파악하였다. 순원가법에 대하여 한-미 FTA 협정문의 규정만을 근거로 산정방법과 실무적 접근방법을 고찰한 결과 우리 기업이 사용하기는 상당히 어렵고 정보유출의 위험도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한-미 FTA 협상 당시에도 우리 정부 협상단 및 자동차기업들은 이러한 우려로 인하여 순원가법을 반대하였다. 하지만 2013년 미국 자동차기업에 대한 관세청 검정결과(필자참여), 상기 우려와는 달리 순원가법이 실무적으로 간단하고, 정보유출의 우려도 적으며, 객관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공제법보다 효율적이어서 미국 자동차기업이 선호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도 우리나라 자동차기업의 원가구조를 고려하여 가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순원가법이 공제법보다 유리하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되고 분석된 내용은 우리 자동차기업이 한-미 FTA를 활용하는데 보다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Author(s)
- 김관우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국제통상물류학과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23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856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국제통상물류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 Advisor
- 조찬혁
-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 ⅱ
ABSTRACT ⅳ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제 2 장 부가가치기준 및 순원가법의 이론적 고찰 3
제 1 절 FTA 원산지기준 3
제 2 절 부가가치기준 분석 5
제 3 절 순원가법의 이론적 고찰 10
제 4 절 순원가법의 실무적 고찰 12
제 3 장 순원가법 원산지검증사례 분석 15
제 1 절 캐나다 원산지검증 교재 분석 15
제 2 절 B세관의 미국 A社 검증 사례 분석 37
제 3 절 미국 관계자 인터뷰 내용 43
제 4 장 순원가법 효용성 분석 및 우리나라 자동차기업 활용방안 연구 46
제 1 절 순원가법의 단순함과 적용 용이성 46
제 2 절 순원가법과 공제법과의 부가가치율 비교 분석 48
제 3 절 순원가법의 객관성 및 예측 가능성 53
제 5 장 결론 54
제 1 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54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5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