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미얀마 미각어 대조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ison Of Taste in Korean And Myanmar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미얀마어의 여섯 가지 기본 미각‘달다, 시다, 짜다, 쓰다, 맵다, 떫다’를 대조함으로써 양국 미각어의 정확한 이해와 쓰임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관찰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맛을 표현하는데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1장에서는 연구목적 및 방법, 선행연구, 대조언어학의 바탕 및 미얀마어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2장에서는 한 미얀마 미각어의 기본 어휘를 중심으로 파생 형태와 복합 형태로 나누어 대조하였다. 단어 형성법의 측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언급했다. 외국어를 배우는 데에 있어서 그 언어의 어휘 형성 방법과 구성을 알면 외국어 학습이 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여 어휘 학습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제 3장에서는 한.미얀마어의 기본의미 및 확장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한.미얀마 미각어의 기본 의미 및 대상은 무엇이고 그 기본의미가 어떻게 다른 의미로 확장되어 쓰이는지를 대조하였다.
제 4장에서는 1장부터 3장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여 결론을 제시하였다.
Author(s)
래이툰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23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858
Alternative Author(s)
Lae Yi Ht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채영희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ⅶ

Ⅰ. 서론 1
1.1 연구 목적 및 방법 1
1.2 선행 연구 4
1.3 이론적 배경 10
1.3.1 대조언어학 10
1.3.2 미얀마어의 특징 11

Ⅱ. 한.미얀마 미각어의 어휘적 대조 15
2.1 한국 미각어의 특징 15
2.1.1 기본 미각어 및 파생 미각어 15
2.1.2 한국복합 미각어 29
2.2 미얀마 미각어의 특징 32
2.2.1 기본 미각어 및 파생 미각어 33
2.2.2 미얀마복합 미각어 46
2.3 양 언어 어휘적 대조 결과 52


Ⅲ. 한.미얀마 미각어의 의미적 대조 54
3.1 한.미얀마의 기본 의미 54
3.2 한.미얀마 미각어의 확장의미 56
3.3 양 언어의 의미적 대조 결과 68

Ⅴ. 결론 71
참고 문헌 73
부록 77
국문초록 8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