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고급 중국어 사용자의 담화표지 사용 양상 연구 - 후베이TV(湖北卫视) 『비정상회담(非正式会谈)』의 토론 담화를 중심으로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상회담(非正式会谈)』고급 중국어 사용자의 토론 담화에 사용되는 토론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밝혀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토론 능력의 신장에 담화표지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고급 중국어 사용자의 담화표지 사용양상을 파악하고 담화표지 교육에 단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중국 후베이TV 『비정상회담』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중국인 진행자와 고급 중국어를 구사하는 외국인 출연자들의 토론 담화이다. 『비정상회담』의 찬반 토론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정해진 하나의 주제에 대해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토론 담화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고, 두 번째는 다양한 국적의 고급 중국어 구사자들의 중국어 토론 담화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후베이TV 『비정상회담』의 방송 중에 코로나 사태 발생하기 전에 마지막 시즌 6의 8회분 중에 '제안 토론' 부분의 찬반 토론 담화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먼저 자료 전사를 통해 영상으로 되어 있는 자료를 텍스트화 한다. 다음은 전사된 자료에 대해 양적으로 통계분석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토론 담화에서 담화표지의 분포를 파악한다. 그리고 질적으로 담화표지의 사용 양상을 살피고 기능별로 담화표지의 구체적인 사용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토론자가 담화표지 사용하는 데의 오류 및 특징을 탐색한다.
토론 담화에 나타난 담화표지를 화제 결속, 태도 표현, 참여 유도, 순서 교대 등 4가지 층위로 나누고 다시 기능별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화제 결속 층위에서 '화제 연결' 기능의 담화표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토론 담화에서 흔히 사용되는 '화제 도입', '화제 전환', '화제 마무리' 등 기능의 담화표지는 사용되지 않았다. '화제 연결' 기능의 담화표지 중 많이 사용된 것은 '然后(32.45%)', '就是(21.81%)' 등이다. 태도 표현 층위에서 '주장하기' 기능의 담화표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주장하기 기능의 담화표지 중에 '我觉得'가 83.21%를 차지하고, 동의하기 중에 '对'가 47.27%, 의문하기 중에 '为什么呢'가 45.95%, 근거들기 중에 '比如说'가 65.22%를 차지한다. 참여 유도 층위에서 '반응 확인' 기능의 담화표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반응 확인 기능의 담화표지는 주로 '对吧', '对不对', '是不是', '知道吗' 등 간단한 질문 형식으로 되어 있다. 순서 교대 층위에서 '끼어들기' 기능의 담화표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비정상회담』의 토론 담화가 치열하게 전개되기 때문에 토론자의 순서 교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주로 접속사를 담화표지로 사용하여 순서 교대한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 토론자의 오류는 주로 형태적 오류, 의미적 오류, 담화적 오류 3가지로 나타났다. 형태적 오류는 문장의 위치하는 자리에서 발생하였다. 의미적 오류는 접속사를 담화표지를 사용할 때 앞뒤 문장 간의 논리적인 관계를 잘못 파악하는 데에 발생하였다. 담화적 오류는 담화표지를 과다하게 사용하거나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외국인 토론자가 담화표지 사용의 특징은 주로 3가지 있다. 첫 번째, 담화표지 종류, 쓰임에 한정적이다. 외국인 토론자가 담화표지를 사용할 때 자주 사용하는 몇 가지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주장하기, 근거 들기 등 기능의 담화표지는 한 가지의 담화표지에 몰려 있었다. 두 번째는 예의에 어긋나는 담화표지 사용이다. 외국인 토론자가 상대방의 체면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예의에 어긋나는 담화표지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주장하기, 반응 확인, 반박하기 등 기능의 담화표지 사용할 때 특히 그렇다. 상대방의 의견을 동의하지 않더라고 상대방을 존중하면서 체면 손상하지 않게 발화하는 언어표현이나 전략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는 영어 담화표지의 사용이다. 외국인의 토론 담화에서 'ok', 'no', 'anyway', 'so what' 등 영어 담화표지가 사용되었다. 이는 외국인 토론자의 발화에서만 나타난 것이 아니라 중국이 진행자의 발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여러 언어의 병존은 특징으로 간주하고 오류로 보지 않다.
『비정상회담』 토론 담화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외국인 토론자들이 담화표지 사용 분포, 특징 및 오류를 파악하였다. 이런 작업을 통해 담화표지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토론 기능에 해당하는 다양한 종류의 담화표지를 교육할 필요가 있고, 일정한 토론 상황에서 적절한 담화표지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전략도 교육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문화를 고려하여 상대방을 존중하고 상대방의 체면을 손상하지 않도록 담화표지를 사용하는 것도 중국어 교육에 그 중요성을 인지해야 한다. 이들은 토론 담화표지 교육의 기초자료로 적용한다면 본 연구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 Author(s)
- WANG XIYING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874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중국학과
- Advisor
- 김현태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4
II. 토론 담화의 개념적 정의와 연구 방법 6
1. 토론 담화의 개념적 배경과 정의 6
1) 토론의 정의 6
2) 토론 능력 8
3) 담화표지의 정의 10
4) 담화표지 구별 14
5) 담화표지의 유형 21
2. 연구 대상 및 연구방법 23
1) 연구 대상 23
2) 연구방법 26
III. 『비정상회담』토론 담화 담화표지 사용 분석(上) 31
1. 화제 결속 34
1) 담화 시작 36
2) 화제 연결 37
3) 연결 유지 43
2. 태도 표현 48
1) 주장하기 50
2) 동의하기 52
3) 부정하기 54
4) 반박하기 55
5) 의문제기 57
6) 근거들기 59
7) 제지하기 60
8) 반응하기 62
IV. 『비정상회담』토론 담화 담화표지 사용 분석(下) 63
1. 참여 유도 63
1) 흥미 유발 64
2) 반응확인 65
2. 순서 교대 68
1) 유지하기 69
2) 끼어들기 71
V. 외국인 토론자 담화표지 사용 오류 및 특징 75
1. 외국인 토론자 담화표지 사용 오류 75
1) 형태적 오류 75
2) 의미적 오류 76
3) 화행적 오류 77
2. 외국인 토론자 담화표지 사용 특징 79
1) 한정적인 담화표지 사용 79
2) 예의에 어긋나는 담화표지 사용 82
3) 영어 담화표지 사용 84
VI. 결론 8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중국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