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파견 귀환자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결과
- Abstract
- 본 논문은 해외파견 귀환자 연구에 있어서 매우 개별적 개념으로 나타나지만, 실제 상당히 중첩되는 이론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 직무열의와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해외파견자의 귀환 자체 뿐 아니라 이후 해외 파견 중 축적한 지식과 경험의 활용은 국제 비즈니스가 직면한 현실적인 과제이기 때문에 해외파견 근로자의 이직 문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특히,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학계는 귀환자와 관련한 이슈 중에서도 직무 열의와 관련한 개념들에 집중 해 오고 있다. 이와 관련한 기존 연구들은 파견 근무 중 그들로 하여금 이직을 이행하거나 또는 이직을 고려하게끔 촉발시키는 요인들을 밝혀왔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파견근무를 수행하였던 종사자 22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외파견귀환자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간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직무열의와 관련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직무열의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선행변수는 개인, 관리 및 기능, 조직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다수준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특정 선행 변수(일터와 관련된 개인수준의 지각 및 몰입, 팀 지향성, 스킬의 적용)이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직무열의의 종속변수인 직무 만족과 이직의도 둘 다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보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선행변수와 종속변수 간 직무 열의가 매개 변수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외파견 귀환자 연구와 인적자원관리 실무에 있어 시사점을 가질 뿐 아니라 후속 연구에도 다양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낮은 직무열의의 부정적인 효과와 관련한HR 관리 관행들을 탐색하고, 어떻게 다국적 조직이 해외파견 근로자가 귀환 직후 보이는 높은 이직률, 지식과 스킬의 낮은 활용 등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전략과 관련한 실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Author(s)
- Adam Cave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국제통상물류학과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24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864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 Advisor
- 최순권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v
Introduction 1
Research Question/Focus 4
Literature Review 5
Turnover 5
Turnover Antecedents 6
Consequences of Turnover 11
Employee Retention 12
Expatriation/International Assignment 17
Repatriation 20
Repatriate Turnover 24
Engagement Theory 26
Summary 31
Theoretical Underpinning 32
Resource Based View 33
Social Exchange Theory 34
Organizational Learning and Absorptive Capacity 36
Identification of Gaps 39
Research Framework Development 40
Factors 40
Hypotheses Development 43
Section 1: Antecedents of Engagement 44
Individual Factors 44
Recognition 45
Perceived Involvement 46
Managerial Factors 47
Team Orientation 47
Managerial Communication 48
Organizational Factors 49
Work/Life Balance 50
Application of Experience/Skills 50
Section 2: Consequences of Engagement 51
Job Engagement 52
Section 3: Engagement as a Mediating Variable 55
Engagement as a Mediator 55
Methodology 57
Philosophy and Justification 57
Theoretical Framework 57
Questionnaire 57
Survey Method 60
Results 63
Sample 63
Non-Response Bias 64
Measures 64
Individual Level 65
Managerial Level 66
Organizational Level 66
Job Engagement 66
Job Satisfaction 66
Turnover Intention 67
Control Variables 67
Common Method Bias 67
Data Analysis 68
Antecedents to Engagement 70
Consequences of Engagement 73
Engagement as a Mediating Variable 73
Discussion 74
Conclusion 76
Theoretical Implications 78
Managerial Implications 78
Limitations 79
Acknowledgements 80
References 81
Appendix A – Survey Instrument 93
Appendix B – Samp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97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