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vestigation of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for Public Private Partnerships (PPP) in Malaysian Construction Industry
- Alternative Title
- 말레이시아의 민간투자사업의 주요 성공 요인 조사
- Abstract
- 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는 중요한 공공의 프로젝트를 구현하는 정책 결정자를 위해 점점 대중화되고 있는 선택입니다. PPP는 공식적으로 2006년 말레이시아의 아홉 번 째 계획 아래 따라 발표되었으며, 이후 많은 정부 프로젝트가 PPP로 인해 전달되고 있었다. PPP 구현의 핵심 성공요인(CSFs)을 식별하여, PPP/PFI의 궁극적인 목표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PPP를 새로 채택하려는 국가들에 대해서는 그 방법이 장점을 최대화하고 모든 관계된 당사자에 대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성공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말레이시아에서 PPP 프로젝트 구현에 대한 성공의 중요 고려요인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다음을 포함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공식화된 다음의 6가지 목적이 있다.
(1) 말레이시아 건설사업에서 PPP의 성능 정도를 파악
(2) 말레이시아 건설 산업에서 전체 응답자에 의해 인식에 대해 PPP의 구현의 성공에 관해 기여 된 CSF의 상대적 중요도를 식별;
(3) 말레이시아 건설 산업의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사이의 CSFs의 상대적 중요성에 관한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 검토
(4) 중요 성공 요인에 대한 광범위한 사이를 확보하기 위해 PPP를 채택하고 있는 4개 나라와 이에 대한 말레이시아에서 PPP 구현을 위한 최고의 CSFs의 중요성을 서로 비교(홍콩, 영국, 중국, 그리고 호주)
(5) PPP에서 사용 가능한 중요 성공 요인에 대한 그룹화와 이에 적절한 요소들을 결정, 그리고
(6) PPP 조달의 개선에 대한 잠재적 효과적인 전략을 구성한다.
본 설문조사는 말레이시아의 PPP 프로젝트의 공공 및 민간부분의 인식을 유도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CSFs의 중요한 열쇠가 된다. 전체의 응답가운데, 55개의 쓸모 있는 응답으로 CSFs의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부와 민간부문의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노력과 책임, 결과는 조달 과정(과정이 공개되며 공적임), 다발적인 이익, 좋은 지배 구조 및 프로젝트 기술의 투명성이 말레이시아에서의 PPP 구현의 상위 5 CSFs을 보여주고 있다. 비록 많은 요인의 순위는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사이에 차이가 있었지만, CSFs의 중요성에 관한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인식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다. 홍콩, 중국, 호주 그리고 영국의 CSFs에 대한 이전연구에 얻은 증거와 말레이시아에서 PPP를 위한 최고의 CSFs를 비교하였다. 말레이시아와 다른 네 나라 사이의 CSFs의 비교에 관한 결과가 있었다.
이 조사의 결과는 요인 분석 기술에 의해 분석을 계속 될 수 있게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17CSFs 등 6개의 기본 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요인 그룹 1 – 프로젝트 기능을 구현
• 요인 그룹 2 – 공공 및 민간 부문간의 책임 공유
• 요인 그룹 3 – 정부 보증
• 요인 그룹 4 – 효율적인 구매 프로세스,
• 요인 그룹 5 – 정치적 지원과
• 요인 그룹 6 – 다발적인 이익 목표
이러한 연구 결과는 PPP와 파트너 PFI 프로젝트의 개발에 대해 이동하는 방식으로 정책 개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기여는 말레이시아에서 PPP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된 CSFs의 상대적 중요성을 탐구하며 보충하며, PPP 프로젝트의 관리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킵니다. 몇몇 추천된 말레이시아 PPP 조달의 전반적인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 Author(s)
- OHCHINPHANG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건설관리연구실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28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153
- Alternative Author(s)
- 오친팡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dvisor
- 김수용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
ACKNOWLEDGEMENTS iv
TABLE OF CONTENTS vi
LIST OF TABLES ix
LIST OF FIGURES x
CHAPTER 1 INTRODUCTION 1
1.1 Research background 1
1.2 Problem statement 3
1.3 Research aims and objectives 5
1.4 Scope of research 6
1.5 Limitations of research 7
1.6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8
1.7 Structure of thesis 9
CHAPTER 2 LITERATURE REVIEW 11
2.1 Introduction 11
2.2 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 12
2.2 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 In Malaysia 16
2.3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of PPP 22
CHAPTER 3 RESEARCH METHODOLOGY 28
3.1 Introduction 28
3.2 Conceptual research framework 28
3.3 Survey population 29
3.4 Questionnaire survey 30
3.4.1 Questionnaire design 31
3.4.2 Questionnaire distribution 32
3.4.3 Preliminary analysis 33
3.5 Expert survey 34
3.6 Analysis tools 34
3.6.1 Descriptive analysis 34
3.6.2 Ranking 36
3.6.3 T-test 37
3.6.4 Factor analysis 38
CHAPTER 4 RESULTS AND DISCUSSIONS 42
4.1 Introduction 42
4.2 Data collection 43
4.3 Respondents profile 44
4.4 Survey Data Analysis 46
4.4.1 Overall respondents'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in PPP projects 46
4.4.2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respondents on the importance of critical success factors 54
4.4.3 Comparison between Countries of the Top Most CSFs for PPP Implementation 56
4.5 Factor analysis of CSFs for PPP projects 59
4.5.1 Factor Grouping 1- Project Implementability 63
4.5.2 Factor Grouping 2- Shared Responsibility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66
4.5.3 Factor Grouping 3- Government Guarantee 67
4.5.4 Factor Grouping 4- Efficient Procurement Process 69
4.5.5 Factor Grouping 5- Political Support 71
4.5.6 Factor Grouping 6- Multi-benefit objectives 72
4.5.7 Relationship of the Underlying Grouped CSFs of PPP 73
CHAPTER 5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77
5.1 Conclusion 77
5.2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80
5.3 Recommendations 81
REFERENCE 83
APPENDIX 93
Appendix 1 9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