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전극 두께와 표면적 변형에 따른 DSSC의 효율 특성
- Alternative Title
- DSSCs efficiencies of modified photo electrode surface area and thickness
- Abstract
- Photo electrode is an important component for DSSC. DSSCs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ies fabricated with different TiO2 photo electrodes thickness and modified phoro electrode surface area were studied. 11 ㎛ TiO2 photo electrode shows a 4.956% efficiency. Efficiencies and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increased as tape casting thickness decreased. Modified surface area of the photo electrode by needle stamp processing were studied. 200 times needle stamp processing on photo electrodes shows a 5.168% efficiency. Modified surface area of the photo electrode by screen printing were studied. Screen printing processing on photo electrodes shows a highest 5.358% efficiency.
- Author(s)
- 주택원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37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238
- Alternative Author(s)
- ZHOU ZEYUAN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전기공학과
- Advisor
- 권성열
-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그림 목차 ⅲ
표 목차 ⅴ
Abstract ⅵ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태양전지의 월리와 종류 3
가. 태양전지의 기본원리 3
나. 태양전지의 종류 4
2. 태양전지의 특성평가 6
가. 광전효과 6
나. I-V curve 8
다. Air mass 11
3.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3
가. DSSC 개요 13
나. DSSC의 구조 14
다. DSSC의 구성 15
라. DSSC의 동작원리 18
Ⅲ. DSSC 제작 20
1. DSSC 제작공정 20
가. 광전극 제작 20
나. 상대전극 제작 21
다. 두 기판 결합 21
2. 광전극 두께에 따른 DSSC 제작 23
3. 니들스탬프로 표면적 변형 DSSC 제작 24
4. Mesh로 표면적 변형 DSSC 제작 27
5. DSSC 특성 평가 30
Ⅳ. 결과 및 고찰 33
1. 광전극의 두께에 따른 DSSC 측정결과 33
2. 니들스탬프로 표면적 변형에 따른 DSSC 측정결과 37
3. Mesh로 표면적 변형에 따른 DSSC 측정결과 40
Ⅴ. 결 론 42
참고문헌 4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전기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