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중남부 연안의 저서 어류 군집구조와 해양환경과의 관계
- Abstract
- 동해안의 저서어류 군집은 해양학적 경계로 알려진 죽변을 기준으로, 중부와 남부 연안으로 나누어 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 이러한 군집 구조와 해양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세 가지 조사를 이용해서 해양환경을 분석하였고 저서어류 군집은 시험조사선에 의한 트롤과 상업어선에 의한 저인망의 두 가지 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해양환경 조사 결과, 수온 변동은 위도별로 북한한류와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시기와 기간에 있어 차이가 있었고 특히, 포항 이남은 나머지 정점들과 차이가 컸다. 또한 트롤 9개 정점의 저층 수온과 염분 자료를 이용한 T-S도를 작성해 본 결과, 세 개의 그룹으로 잘 분리 되었다.
트롤과 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는 총 106종었고, 과별로는 둑중개과, 꼼치과, 날개줄고기과, 등가시치과, 장갱이과 등에 속하는 어종들이 많았다. 트롤 조사에 의해서는 총 29과 82종이 출현하였고, 우리나라 해역 중에 동해에만 서식하는 동해종은 53종(64.6%)이었고, 거주종은 61종(74.3%)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동해 남부에 비해 중부 해역이 총 어종수가 더 많았고 동해종의 비율이 높았는데 이것은 북한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한류성 어종이 많이 출현하였기 때문이다. 저서어류 군집의 우점종은 도루묵과 청어 두 종으로, 이 종들에 의해 전체 군집의 개체수와 생체량을 좌우하였다. 동해 중부와 남부를 나누어 개체수와 생체량을 살펴보면, 전체 개체수는 많은 도루묵이 출현한 중부가 남부보다 많지만, 생체량은 청어가 많이 출현한 남부가 중부보다 많았다. 동해의 다양한 수심별로 살펴보면, 개체수와 생체량 모두 150∼200m에서 가장 많았다. 생태지수는 상대적으로 깊은 수심의 죽변과 포항 정점에서 다양한 어종이 출현하여 높았다. 군집 분석 결과 분리된 세 그룹간의 어종수, 개체수, 생체량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고, 종다양도지수는 다양한 심해종이 출현한 그룹 B가 다른 그룹보다 높았다.
저인망 조사에는 총 18과 76종이 출현하였고, 동해종은 59종(77.6%)이었고 대부분 거주종이었다. 동해 중부와 남부 해역의 개체수는 서로 유사하였고, 중부 해역은 도루묵이 전체의 78%를 차지하였고 남부에서는 기름가자미가 65%로 극우점하였다. 생체량에 있어서도 두 해역은 유사하였고, 우점종도 개체수의 우점종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수심별로는 동해 중부 해역에서 가장 얕은 50∼100m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와 생체량을 나타내었다. 군집 분석 결과 분리된 세 그룹간에는 개체수, 생체량과 종다양성지수는 모두 유사하였고, 어종수는 동해 중부가 남부의 두 그룹 보다는 많았다.
두 가지 조사에 의한 저서어류 군집 구조를 분석해 본 결과, 트롤에 의해서는 세 그룹으로 나누어지는데 가장 북쪽에 위치한 고성에서 삼척, 죽변에서 포항 그리고 가장 남쪽에 위치한 포항 이남이다. 저인망에 의해서는 트롤과 마찬가지로 고성에서 삼척까지는 잘 분리되었지만, 동해 남부에서 수심대에 따라 두 개로 분리되는 경향을 보였다. 과거 한류세력이 강했던 1982년의 저서어류 군집 구조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해 본 결과, 삼척과 감포 정점을 제외하고는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트롤 조사에 의한 저서어류의 세 그룹별 환경과 생태 자료를 살펴보면, 저층 수온과 50m 수온은 모든 그룹에서 차이가 있었고, 염분은 가장 남쪽인 포항 이남이 다른 두 그룹과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수심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깊은 죽변에서 포항까지 정점들이 다른 정점과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다른 영양염, 클로로필, 동물플랑크톤 생체량 등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세 개의 저서어류 군집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해양환경 요인은 수온과 수심의 물리적 환경이었다.
- Author(s)
- 박정호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39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256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 Advisor
- 김진구
- Table Of Contents
- 목 차
Abstract iii
I. 서 론 1
II. 동해 중남부 연안의 해양환경 특성 7
2.1. 서론 7
2.2. 재료 및 방법 8
2.2.1 물리적 특성 8
2.2.2 환경적 특성 9
2.3. 결과 11
2.3.1 물리적 특성 11
2.3.1.1 동해 연안 정지 관측 11
2.3.1.2 동해 정선 조사 14
2.3.1.3 트롤 관측 22
2.3.2 환경적 특성 29
2.3.2.1 무생물적 특성 29
2.3.2.2 생물적 특성 29
2.4. 고찰 32
III. 시험조사선에 의한 저서 어류 종조성 및 군집구조 36
3.1. 서론 36
3.2. 재료 및 방법 37
3.2.1 조사 정점과 방법 37
3.2.2 통계 분석 41
3.3. 결과 42
3.3.1 종조성 42
3.3.1.1 어종수 42
3.3.1.2 개체수 43
3.3.1.3 생체량 48
3.3.2 우점종 52
3.3.2.1 개체수 우점종 52
3.3.2.2 생체량 우점종 57
3.3.3 수심별 변화 60
3.3.4 군집 분석 62
3.3.4.1 생태 지수 62
3.3.4.2 군집 구조 63
3.4. 고찰 80
IV. 상업어선에 의한 저서 어류 종조성 및 군집구조 86
4.1. 서론 86
4.2. 재료 및 방법 87
4.3. 결과 91
4.3.1 종조성 91
4.3.1.1 어종수 91
4.3.1.2 개체수 93
4.3.1.3 생체량 97
4.3.2 우점종 100
4.3.2.1 개체수 우점종 100
4.3.2.2 생체량 우점종 103
4.3.3 수심별 변화 106
4.3.4 군집 분석 110
4.3.4.1 생태 지수 110
4.3.4.2 군집 구조 110
4.4. 고찰 124
V. 종합 고찰 127
VI. 요 약 132
VII. 부 록 136
VIII. 참고문헌 142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