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마리나 친수공간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부산 수영만 마리나 중점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Recently, by the international exposition in Yeosu Korea 2012, the added value of ocean was noticed and the research on ocean industry such as ocean resource and oceanic facility is being carried out, and by the increase of national income level and leisure time, the interest of marine tourism have increased. In contrast of the social flow, Busan although having an advantageous characteristic of area, the problem such as deteriorated marina port, lack of waterfront facility and inefficient marina space are rising. Representatively, Busan Suyeong bay marina is delayed on the redevelopment projects being carried out, due to not the competent authority and inhabitant acceptance of an opinion. Founded in 1986, since the 86 Asian Games and 88 Seoul Olympics has been utilized by the stadium yacht. But now, the approximately 20 years after the aging concrete public square, lose identity of design, overloaded with equipment such as yachts because citizens cannot serve as a resting space. Therefore, the universal design should be applied to the largest Suyeong bay marina Busan in Korea such as increased functionality and facilities improve. After that It will be waterfront complex space for the citizens.
Author(s)
서민성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39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261
Affiliation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유상욱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 1 장.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4
1. 마리나의 개념 4
1-1. 마리나의 개요 4
1-2. 친수공간의 개념 및 목적 6
1-3. 마리나의 유형 분류 8
2. 마리나 기본 계획 및 운영 현황 13
2-1. 국내 마리나 기본 계획 13
2-2. 국내 마리나 운영 현황 16
2-3. 국외 마리나 계획 및 현황 20
2-4. 시사점 23
3. 선행 연구 고찰 24
3-1. 선행 연구 검토 24
3-2. 선행 연구의 한계점 및 차별성 25
제 3 장. 마리나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요와 선행 사례 26
1. 공공디자인의 개요 26
1-1. 공공디자인 개념과 분류 26
1-2. 공공디자인의 영역과 필요성 30
2. 마리나 친수공간의 공공시설물 사례 32
2-1. 국외 마리나 공공시설물 선진 사례 32
2-2. 국내 마리나 공공시설물 선진 사례 39
제 4 장.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 방법론 46
1.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 개념 및 기준 46
1-1. 디자인 평가 개념 및 방법론 46
1-2. 디자인 평가기준 47
2.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 시스템 도출 48
2-1. 국내외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항목 현황 48
2-2. 공공 시설물 디자인 세부평가 항목 도출 57
2-3. 공공시설물 디자인 세부평가 지표 개발 63
2-4. 평가점수 체계 및 평가결과 표현 방법 67
제 5 장. 대상지 공공시설물 디자인 분석 67
1-1. 대상지 일반적 개요 및 현황 67
1-2. 대상지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결과 71
1-3. 소결 91
제 6 장. 결론 92
1-1. 연구결론 92
참고문헌
감사의 글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