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부산 퍼블릭액세스 프로그램 연구 -KBS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다매체․다채널 시대 규제완화를 통해 지상파 방송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무분별한 규제완화는 방송의 다양성을 해치고 민주주의 후퇴를 가져 올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매체․다채널 시대 기존 지상파 방송의 공공성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바탕으로 지역 퍼블릭액세스 프로그램이 풍부한 공론장 형성에 기여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퍼블릭액세스 프로그램인 《열린채널 부산》의 지역성과 다양성 구현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내용 분석을 진행 하였다.
분석 결과 《열린채널 부산》은 크게 지역소개를 바탕으로 하는 지리적․공간적 지역성과 지역민의 삶의 이야기, 지역의 공공정책에 대한 문제제기와 대안제시를 하는 사회․문화적 지역성을 두루 구현하고 있었다.
다양성은 제작자․출연자, 내용, 노출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제작자는 일반시민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대학생과 시민 제작단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출연자는 부산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 장애인․성매매여성‧다문화 가정․비정규직 교사 등 사회적 약자들도 다수 출연하여 퍼블릭액세스 프로그램의 목적인 소외계층의 목소리를 잘 구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열린채널 부산》의 편성변화와 다시보기 서비스를 통한 노출의 다양성 분석 결과 주말 오전에서 평일 낮 시간대로 편성시간이 변경되었고, 생방송 이외에 프로그램을 접할 기회가 홈페이지 다시보기 서비스가 유일한 것으로 나타나 노출에 대한 보다 적극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열린채널 부산》이 지역의 공공정책에 대한 문제제기와 대안제시의 형태를 통해 기존의 정치적 공론장 형성에 유효하다는 것을 재확인 하였다. 또한 제작자들이 참여를 통해 개별 소비자에서 시민으로 발전할 수 있는 사적친밀/프라이버시 공론장 형성 가능성과, 다양한 지역민의 삶에 대한 감성적 접근을 통해 여러 계층의 고민을 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차이·다원주의 공론장을 형성하는데 유효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지역방송국은 지역의 풍부한 공론장 형성에 퍼블릭액세스 프로그램이 유효한 프로그램임을 재인식하고 이를 통한 실질적 여론형성이 될 수 있도록 실천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시청자들에게도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얻어낸 퍼블릭액세스 프로그램이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알리는데 쓰일 수 있도록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요구된다.
Author(s)
남태수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40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274
Affiliation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한혜경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론 및 문제제기 1

제2장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6
1.방송의 공공성과 공익성 6
1)방송의 공익개념 6
2)방송공익의 근거 8
(1)공공수탁이론 9
(2)공리주의적 방송공익론 10
(3)공론장-숙의민주주의론 10
2.방송 공익 실현을 위한 시민참여와 퍼블릭액세스 13
3.지역방송의 공익성 21
1)지역방송의 역할 21
2)지역성 개념의 변화 24
(1)지리적·공간적 지역성 개념 24
(2)사회·문화적 지역성 개념 26
3)지역방송의 새로운 역할 : 지역의 공론장 27
4.지역 퍼블릭액세스 31

제3장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37
1. 연구문제 37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38

제4장 연구 분석 결과 42
1. 《열린채널 부산》의 지역성 42
1) 지리적·공간적 지역성 : 지역소개 43
(1)지역 문화 소개 43
(2)지역 명물 소개 44
2) 사회·문화적 지역성 45
(1)지역 시민사회 활동 소개 46
(2)지역민의 삶에 접근 48
①지역민의 일상 48
②지역의 소외계층 50
(3)지역의 공공정책 감시와 지역의제 제시 52
①지역 공공 정책에 대한 문제제기와 대안제시 52
②지역 공공 정책 비판 53
③지역 공공 정책 제안 54
2.《열린채널 부산》의 다양성 55
1)제작자 ․ 출연자의 다양성 56
(1)제작자의 다양성 56
(2)출연자의 다양성 59
2)내용의 다양성 62
3)노출의 다양성 64
3.《열린채널 부산》을 통한 지역 공론장 형성 65

제5장 결론 및 제언 7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