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장편 애니메이션 영상의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search on the Color Narrative framework of Animated Feature Films
Abstract
2020-2025년 전 세계 애니메이션 및 VFX(Visual Effects)업계 보고서(Global Animation & VFX Industry Report 2020-2025)에 따르면, 2019년 전 세계 애니메이션, VFX(Visual Effects) 및 비디오게임 업계의 시장가치는 총 2,67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애니메이션 업계 세분화 시장 대부분이 동기 대비 2-3%의 성장을 기록했으며 2020-2025년 애니메이션 및 VFX 시장의 연평균복합성장률(CAGR)은 9%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디어 분야에서 멀티미디어가 빠르게 부상함에 따라 애니메이션 및 VFX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HD초고화질의 시각적 체험에 대한 글로벌 소비자의 관심도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색채는 애니메이션 영상 창작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각화 서사 표현요소 중 하나로, 사물의 물리적인 외관을 표현하거나 스토리 플롯을 이끌어가는 기본적인 요소다. 관객의 심미적 취향과 수준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오늘날, 색채는 관객의 인지와 상상력을 움직이고 관객이 작품과 정서적으로 하나가 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 일본 등 애니메이션이 발달한 국가를 보면, 모두 색채 활용에 있어 독특한 스타일과 체계적인 색채 지정 기술을 가지고 있다. 이와는 달리, 대다수 아시아 국가의 애니메이션 산업의 경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서사학의 측면에서의 '컬러로 스토리텔링하다'에 관한 연구가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장편 애니메이션 영상의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를 수립하고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작품 23편(1995-2020년)을 연구 표본으로 하여 델파이 기법을 통해 내용분석 및 전문가 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및 통계[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상관분석, 신뢰도(Cronbach's α), t-검정] 등 검증을 통해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성공 사례의 색채 서사 구현 방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총 23편의 애니메이션 영화 작품은 창작자가 '스토리 구조', '캐릭터 설정', '장면 환경' 3가지 차원에서 각각 스토리 주제, 스토리 라인, 플롯 포인트, 상황 기호, 정서 표현, 포커스 기능(이상 '스토리 구조' 차원), 식별력, 응집력, 공감력, 시대감, 일관성(이상 '캐릭터 설정' 차원), 반영력, 부각력, 빛 효과, 지역성, 대비력, 감화력, 하늘(하늘빛, 구름 처리)(이상 '장면 환경' 차원) 18개 색채 서사 표현 기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총 2,140부의 응답지를 확보하였으며 이에 대한 귀납분석 결과, '스토리 구조', '캐릭터 설정', '장면 환경' 3가지 차원에서 설문조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모두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18개 색채 서사 핵심요소가 양호한 식별력(Discrimination power)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상관분석, 신뢰도(Cronbach's α), T-검정을 통해 전공 학생 및 일반 대중 모두 국가 간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 학생과 일반 대중의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가 설정한 색채 서사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영향 모형을 평가하기 위해 회귀분석법을 실시한 결과, '장편 애니메이션 영상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의 전반적인 적합성은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애니메이션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의 향후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중국과 한국의 전공 학생 및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23편 영상 작품의 18개 색채 서사 핵심요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조사 결과 모두 수용한 가능한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고, 이로써 영화의 색채 서사 표현력의 중요성을 충분히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본 연구가 수립한 장편 애니메이션 영상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는 일정 이상의 참고 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지며 향후 애니메이션 창작 입문자를 위한 참고를 제공하고 애니메이션 감상자의 공감을 높임으로써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과 디지털미디어 디자인 교육과 학습 수준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Author(s)
HU GUOFENG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장편 애니메이션 영상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 색채 핵심요소 색채 효과 표현기능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4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7691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장청건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범위 6
3. 선행연구 검토 8
Ⅱ. 이론적 배경 12
1. 애니메이션 영상에 관한 이론 12
1) 영상의 개념 및 정의 12
2) 영상과 애니메이션의 상관관계 15
3) 애니메이션 영상의 이론 16
(1) 애니메이션의 개념 및 정의 16
(2) 애니메이션 영상의 종류 18
(3) 애니메이션 영상의 요소 20
2. 애니메이션 영상 색채의 이론적 배경 22
1) 색채의 시각과 인지 22
(1) 색채의 3가지 속성 24
(2) 색채의 상호작용 27
2) 영상 색채의 관련된 효과 및 기능 28
(1) 공간 형체와 색상 표현 기능 29
(2) 색채 심리 효과의 표현 기능 30
(3) 색채 감정 언어 효과의 표현 기능 31
3) 영상 색채의 배색 32
(1) 배색 원칙 33
(2) 영상 색채의 구성 방법 34
4) 색채의 이미지 연상과 상징 35
(1) 빨강 40
(2) 주황 41
(3) 노랑 42
(4) 초록 43
(5) 파랑 44
(6) 보라 45
(7) 회색 46
(8) 흰색 47
(9) 검정 48
3. 애니메이션 영상의 서사의 이론적 배경 49
1) 서사의 개념 및 정의 49
2) 서사의 표현 요소 51
3) 애니메이션 영상 색채 서사의 표현 방법 52
Ⅲ. 장편 애니메이션 영상의 색채서사 54
1. 스토리 구조의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 54
1) 애니메이션 영상 플롯의 3요소 54
2) 스토리 구조의 색채 서사 구축 57
2. 캐릭터의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 61
1) 캐릭터의 개념 및 정의 61
2) 캐릭터 설정과 색채 간 관계 63
3. 장면 환경의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 68
1) 장면의 개념 및 정의 68
2) 장면 환경의 색채 서사 표현 69
Ⅳ. 연구 설계 및 방법 75
1. 연구 모형 75
2. 연구 방법 및 순서 75
1) 내용 분석법 및 기호학 이론 77
(1) 내용 분석법(Content Analysis) 77
(2) 기호학 이론(Semiology) 78
2) 전문가 인터뷰 및 검증 80
(1) 델파이 방법(Delphi Method) 81
(2) 델파이 기법 선정 동기 82
(3) 연구 구조 83
3) 본 조사 91
(1) 질문지법 (Questionnaire Method)의 정의 91
(2) 질문지법 선정 동기 91
(3) 조사 대상 선정 92
(4) 설문지 내용 설계 92
4) 설문조사 자료 통계 분석 방법 94
V. 사례 분석 및 검증 95
1.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 분석 95
1) 스토리 구조의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 96
(1) 스토리 주제(Story Theme) 97
(2) 스토리 라인(Storyline) 98
(3) 플롯 포인트(Plot Point) 102
(4) 상황 기호 105
(5) 정서 표현 106
(6) 포커스 기능 106
2) 캐릭터의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 108
(1)식별력 108
(2)응집력 109
(3)공감력 111
(4)시대감 112
(5)일관성 113
3) 장면 환경의 색채 서사 프레임워크 115
(1) 반영력 116
(2) 부각력 116
(3) 지역성 117
(4) 대비력 117
(5) 감화력 118
(6) 빛 효과 119
(7) 하늘(하늘빛, 구름 처리) 120
2. 설문 데이터 통계 및 모형 구성 분석 121
1) 조사대상자의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121
(1) 한·중 전공 학생의 기술통계분석 121
(2) 일반 대중 응답자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123
(3) 전체적인 기술통계분석 125
2) 신뢰도 분석 127
3) 차이성 분석 129
4) 상관성 분석 131
5) 전체적인 회귀분석 132
VI. 결론 및 제언 135
1. 연구의 결론 135
2. 향후 연구의 제안 및 한계 138
참고문헌 140
Abstract 147
부록 149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