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석유화학공장의 수동적 내화설비및 내폭설비에 관한 국내 안전관련 법령 개선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석유화학공장의 수동식 방화설비는 산업안전보건기술기준지침에서 설치대상, 설치범위 등을 명시하고 있지만 관련 부재의 내화 인증기준은 일반 건축물 내화시험 인증기준을 준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황순용, 이수희, “내화구조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D-45-2012, p.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2)

. 그러나 일반건축물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석유화학공장에서의 유류화재는 화재역학적인 특성치가 상이하여 이에 대한 내화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에서는 90년도 후반부터 내화구조에 대하여 탄화수소화재(유류화재) 시간-온도곡선에 따라 시험된 내화구조의 사용을 규정하였다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Fireproofing Practices in Petroleum and Petrochemical Processing Plants”, API 2218, p.27,42,43 (2013)

.
그러나 국내에서는 일반 건축물 화재에 내화성능을 평가하는 표준 시간-온도곡선을 이용한 방법으로 내화성능평가가 이루어진 수동적 방화설비가 석유화학공장에 사용하기 때문에 유류화재에서 내화성능을 확보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감소시키는 역할로는 불충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Frank P. Lees,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p.486,559, Elsevier Inc (1979)

. 또한 방폭문, 방폭벽, 폭발벤팅설비 등을 포함하는 수동적 내폭설비 분야는 폭발 피해영향 평가를 통하여 피해위험지역을 구분한 후 물적 피해 감소보다는 안전관점에서 공정지역 내에 있는 현장 공정제어실 등에 근무하는 운전원의 생명보호를 위해서 폭발피해영향범위에 설치되는 이러한 건축물에 대해서 발생되는 폭발과압에 견디는 건축물의 설치를 규정하고 있다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Management of Hazards Associated with Location of Process Plant Protable Buildings”, API 753, p.3 (2012)

. 그러나 국내 안전 관련 규정에는 관련 규정이 미비하고 내폭벽 등의 표준시험 인증절차가 국가 표준 시험 절차로 마련되지 못하여 있어 관련 표준 시험 제도 확립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실제 미국 안전관련 규정을 바꾸는 계기가 된 미국 석유화학공장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화재 및 폭발사고를 분석하고 개정된 미국석유화학협회의 관련 안전기술을 참조하여 내화구조 및 내폭구조에 관해서 국제적으로 표준 안전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미국석유화학협회(American Petroleum Institute)기준과 국내 관련 법령간의 설치기준 및 인증기준과 설치기준을 비교분석하고 화재 모델링 및 폭발피해 영향 평가 모델링을 통해서 위험물안전관리법, 산업안전보건기술지침상에 명기된 수동적 방화설비 및 수동적 내폭설비에 관련된 안전관련 규정의 개선방향을 제안하여 국내 석유화학공장에서 발생하는 화재, 폭발사고에 관련된 수동적 내화구조 및 내폭구조에 대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여 이들 사고로부터의 피해감소화에 목적을 둔다.
Author(s)
황준호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41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281
Affiliation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안전공학과
Advisor
장성록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2장 석유화학공장의 화재 및 폭발 사고분석 3
2.1 화재 사고 3
2.1.1 화재사고 개요 4
2.1.2 화재가 발생한 공정 4
2.1.3 분출 화재 원인 10
2.1.4 기존의 내화구조 설치기준 13
2.1.5 개정된 내화구조 설치기준 15
2.2 폭발 사고 분석 17
2.2.1 폭발사고 개요 18
2.2.2 폭발이 발생한 공정 18
2.2.3 폭발 원인 및 폭발 피해 영향 분석 23
2.2.4 기존의 폭발 피해 경감을 위한 안전기술지침 26
2.2.5 개정된 폭발 피해 경감을 위한 안전기술지침 28
제3장 설치기준 및 성능인증기준 31
3.1 석유화학공장의 유류화재용 내화구조 필요성 31
3.2 석유화학공장에서의 내폭구조 필요성 34
3.3 외국의 내화 및 내폭 구조 설치 및 성능인증기준 39
3.3.1 외국의 내화구조 설치 및 성능인증기준 39
3.3.2 외국의 내폭구조 설치 및 성능인증기준 44
3.4 국내의 내화 및 내폭구조 설치 및 성능인증기준 50
3.4.1 국내의 내화구조 설치기준 및 성능인증기준 50
3.4.2 국내의 내폭구조 설치기준 및 성능인증기준 58
제4장 화재 및 폭발 모델링을 이용한 국내 관련 법령의 개선안 60
4.1 화재 모델링을 이용한 내화구조 적정성 해석 60
4.1.1 콘크리트의 폭렬현상 60
4.1.2 화재 모델링 64
4.1.3 관련 법령과의 비교를 통한 개선안 76
4.2 폭발 피해해석 모델링을 이용한 내폭구조 해석 79
4.2.1 폭발피해해석 모델링 79
4.2.2 관련 법령과의 비교를 통한 개선안 87
제5장 결론 89
참고문헌 9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안전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