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하구역에서 CDOM의 시공간적인 분포특성
- Abstract
- 2012년 3월, 6월 그리고 7월에 섬진강 하구역에서 CDOM(Chromophoric Dissolved Organic Matter) 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FDOM(Fluorescence Dissolved Organic Matter), 무기 영양염류 및 엽록소-a 등이 CDOM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해역은 섬진강 하구역으로 광양만 입구에서 상류로 약 35km 거리의 구간을 총 19개의 정점으로 나누었고, 조사시기는 건기와 우기로 나누어 수계 중 용존유기물질의 농도와 특성변화를 물리•화학적 환경요인과 관련하여 조사하였다. CDOM(355nm)의 평균 농도는 3월에 1.01±0.34 m-1, 6월에 1.26±0.43 m-1 그리고 7월에 1.36±0.44 m-1로 각각 나타났다. CDOM의 광특성을 이용하여 공급물질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Slope 값을 이용하였는데, Slope(300-500 nm)의 평균 값은 3월에 0.013±0.002 nm-1를 나타냈고, 6월에 0.015±0.004 nm-1를 7월에 0.018±0.004 nm-1를 나타냈다. 조사결과 CDOM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농도가 감소되어 섬진강으로부터 공급되는 육상기원의 CDOM이 주요한 공급원으로 보이며, 보존성 혼합에 가까운 분포변화를 보였다. Slope(300-500 nm) 값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변화폭이 커졌으며, 대부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용존유기물의 화학적 특성의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CDOM과 FDOM은 모두 염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현장생산 보다 강물에 의한 공급이 우세하여 혼합에 의한 희석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CDOM과 FDOM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염분변화에 따라 CDOM, FDOM 그리고 영양염류 등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CDOM의 변화에 따라 FDOM과 영양염류 등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Author(s)
- 이재환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4.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41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284
- Affiliation
-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학과
- Advisor
- 박미옥
- Table Of Contents
- 목 차
Abstract ⅰ
List of Figures ⅲ
List of Tables ⅴ
List of Appendix ⅵ
1. 서 론 1
2. 재료 및 방법 6
1. 연구지역 6
2. 분석항목 10
2.1 CDOM(Chromophoric Dissolved Organic Matter) 10
2.2 FDOM(Fluorescence Dissolved Organic Matter) 11
2.3 영양염류 11
2.4 엽록소-a 12
3. 결 과 13
1. 강우 및 유량 13
2. 수온 및 염분분포 15
3. CDOM 농도 및 Slope 18
4. FDOM 21
5. 영양염류 28
6. 엽록소-a 35
4. 고 찰 37
5. 결 론 51
참고문헌 53
국문요약 58
감사의 글 59
Appendix 6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