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현대 도시 공간의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This study aims at describing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design method of Media Facade, figuring out its roles and characteristics and suggesting development direction in the future.
In this paper, multi-disciplinary learning research and systematic analysis of the design feature of media facade types, styles, influence on the city space, summed up the media facades followed in the design principles.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media facade, designed to raise the attention of the point, to establish new media façades of research system, research to improve the system architectural theory, and strive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urban designers.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media facade has become inescapable urban elements. We can see, some of them become a charming landscape, so that the original stagnant corner of the city to become the gathering place of pilgrimage. Architects, city designers and artists are attracted enthusiastic participation.
In many cases, media facade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urban landscape and public life, a useful impetus to improve the quality of urban space and community life.
Currently, the successful use of new media technology with a strong momentum continued influence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is influence will continue.
However, due to the new media facade of the form diversity, technical complexity, makes it difficult accurately grasp the concrete form and cognition the principle in the complex, diverse forms of media facades. In order to actively grasp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dia facade in modern information technology renewal development,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how the media facade classification studie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in a large number of case studies, to provide theoretica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odern architecture design.
By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media facade form to explore design the approach of media facade. Master the basic principles and methods of media facade design, while deepening the designer's learning and cognition, Provide the basis for the design of positioning and guiding practice, to achieve the purpose of "learn in order to practise".
Concerned about the latest developments in media facade design, convey different values ​​and creativity, and expression desire of the human for some kind of future, some architectural highlights or idea may bring inspiration to professional architects. And triggered some of the thinking of people, provide some inspiration for future media facade design.
Author(s)
곡연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51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67381
Affiliation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김명수
Table Of Contents
제Ⅰ장. 서론 1
1.1 연구 목적 및 문제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1.2.1 연구 범위 2
1.2.2. 연구 방법 3
1.3. 연구의 흐름도 6
1.4. 선행연구 고찰 8

제Ⅱ장. 도시 공간의 미디어 파사드의 이론적 고찰 13
2.1 미디어 파사드의 이해 13
2.1.1 미디어 파사드의 개념 13
2.1.2 미디어 파사드의 의미 18
2.2 미디어 파사드의 시대적 변화 20
2.2.1 건축의 미디어 파사드근원 20
2.2.2 과학기술 혁명과 건축학 26
2.2.3 건축이 바로 미디어이다 28
2.3 뉴 미디어 파사드의 개발 역사 31
2.3.1 뉴 미디어 파사드 생성의 기술 및 사회적 배경 31
2.3.2 뉴 미디어 파사드의 발전시기 33

제Ⅲ장. 도시 공간의 현대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의 표현유형 46
3.1 미디어 파사드 분류 46
3.2 현대 미디어 파사드의 표현 기술 종류와 사례연구 56
3.2.1 투영계열의 미디어 파사드 57
3.2.2 전자디스플레이 계열의 미디어 파사드 76
3.2.3 픽셀화된 미디어 파사드 계열 84
3.2.4 기계구조계열의 미디어 파사드 미디어 파사드 88
3.2.5 자재기술 기반의 미디어 파사드 91
3.2.6 생체 모방 키네틱(Biomimetic Kinetic) 학적 미디어 파사드 101
3.3 현대 미디어 파사드의 매개유형 종류와 사례 연구 104
3.3.1 실내공간 유형의 미디어 파사드 104
3.3.2 건축공간유형의 미디어 파사드 사례 108
3.3.3 공공 미디어아트 유형의 미디어 파사드 111
3.4 미디어 파사드의 소통방식 전파류와 사례연구 117
3.4.1 직접적 표현 미디어 파사드 118
3.4.2 인터랙티브 미디어 파사드 119
3.5 미디어 파사드의 인터페이스화 종류 사례연구 122
3.6 미디어 파사드에 따른 시대적 분류 사례연구 148

제Ⅳ장. 미디어 파사드 표현기술 및 디자인 요소 125
4.1 미디어 파사드와 조명 125
4.1.1 LED와 조명등의 특성 125
4.1.2 LED기술과 예술의 융합 미디어 파사드 129
4.1.3 LED 미디어 파사드의 적용 130
4.2 미디어 파사드 구성특성 132
4.2.1 미디어 파사드의 개방성 133
4.2.2 미디어 파사드의 인터랙티브 (Interactive) 135
4.2.3 미디어 파사드의 시각성 146
4.3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 요소 149
4.3.1 물리적 요소 149
4.3.2 환경적 요소 153
4.4 미디어 파사드의 디자인 방법 153

제Ⅴ장.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 발전 경향 및 사례 연구 163
5.1 도시 공간의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 발전 경향 163
5.1.1 기술적 경향 164
5.1.2 표현력 경향 172
5.1.3 다원화 경향 173
5.2 미디어 파사드 발전 과정 중의 주요 고려사항 174
5.2.1 현재 개발 중의 기술적 제한성 174
5.2.2 발전 상황과 전망 175
5.2.3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에 존재하는 주요 고려사항 176
5.3. 미디어 파사드의 건축디자인에 대한 추진 177
5.3.1 학문교차적 건축 디자인에 대한 추진 177
5.3.2 현대 미디어 파사드가 디자이너에게 미치는 영향 178
5.4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 사례연구 요약 180
5.4.1 서울스퀘어(Seoul Square)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 사례 분석 180
5.4.2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 조사 연구 183
5.4.3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 만족도 설문조사 및 분석 187

제Ⅵ장. 결론 195

참고 문헌 199
ABSTRACT 203
부 록 205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