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of developmental deformity with calcium, phosphorus, or estradiol-17β (E2) levels in the red-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 Alternative Title
- 붉바리 (Epinephelus akaara)의 골격 이형현상과 혈장 내 칼슘, 인, 그리고 에스트라디올 농도와의 관계
- Abstract
- 어류 양식 종묘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이형(기형)현상은 상품의 시장가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종묘의 사육환경 조건, 먹이 섭이 그리고 그 외 여러가지 요소들이 이러한 이형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Santosh and Lewis-McCrea, 2007), 이형의 정확한 발생원인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동남아 지역에서 고급어종으로 알려진 붉바리 (Epinephelus akaara) 양식에 있어서도 골격이형은 성장저해 및 상업적 가치 하락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하지만 붉바리 양식에서 골격발달의 이형에 관한 연구는 아주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붉바리의 근본적인 이형에 대한 연구를 돕기 위하여 판매 종묘크기에 해당하는 전장 즉, 평균 전장 약 7 (6.97, 7.13cm), 8 (8.29cm) 그리고 11 (11.65cm)cm 크기의 붉바리를 외부형태 및 X-ray 촬영에 의한 골격영상 분석기법으로 정상개체와 이형개체간 판별 및 이형의 유형별 패턴 분석을 하였으며, 정상과 이형개체간의 혈장 내 칼슘, 인 그리고 estradiol-17β (E2)농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형 패턴 분석결과, 붉바리에서는 대표적으로 두부, 척추, 아가미 그리고 두 가지 이상의 이형증상을 나타내는 다발성 이형이 나타났다. 이형의 발생비율은 평균 전장이 클수록 정상에 비해 이형률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붉바리 정상개체와 이형개체를 대상으로 혈장 내 칼슘, 인 그리고 estradiol-17β (E2)의 농도 분석 결과, 평균 전장 11.65cm에서 칼슘, 인, estradiol-17β (E2)의 농도는 정상개체에 비해 이형개체에서 더 높게 관찰되었다. 또한, 평균전장 7.13, 8.29cm 크기의 붉바리에서는 정상개체와 비교하여 다발성 이형에서의 칼슘, 인 그리고 estradiol-17β (E2)의 농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 이형을 가지고 있는 개체들은 부화 후 성장함에 따라 이형증상이 점점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붉바리에서 정상개체와 비교하여 이형개체의 골격대사 관련물질인 칼슘, 인 그리고 estradiol-17β (E2)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과 이형과의 관계는 부화 후 약 300일 (평균 전장 11.65cm)에서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붉바리 양식에 있어서 정상적인 골격발달과 이형율 저감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Author(s)
- 김지은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하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54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070778
- Alternative Author(s)
- Ji Eun Kim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 Advisor
- 백혜자
- Table Of Contents
- List of figures …………………………………………………… iii
List of tables …………………………………………………… iv
Abstract …………………………………………………………… v
1. Introduction …………………………………………………… 01
2. Material and Methods ……………………………………… 05
2-1. Experimental fish ………………………………………… 05
2-2. Morphometric analysis of skeleton …………………… 07
2-2-1. External shape analysis …………………………… 07
2-2-2. Skeletal structure analysis (soft x-ray radiograph) ……………………………………………………………………… 08
2-3. Chemical analysis ……………………………………… 09
2-3-1. Plasma calcium and phosphorus ………………… 09
2-3-2. Estradiol-17β ………………………………………… 10
2-4. Statistical analysis ……………………………………… 11
3. Results ………………………………………………………… 12
3-1. Deformity pattern ………………………………………… 12
3-2. The incidence of deformity ……………………………… 15
3-3. Calcium levels in plasma ……………………………… 19
3-4. Phosphorus levels in plasma ………………………… 22
3-5. Estradiol-17β levels in plasma ………………………… 25
4. Discussion …………………………………………………… 27
5. Summary ……………………………………………………… 31
6. References …………………………………………………… 3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