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Morphological and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 of Sebastes koreanus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황해볼락 (Sebastes koreanus) 자치어의 외부형태 및 골격 발달
Abstract
2011년부터 2013년 동안 황해에서 채집된 황해볼락(Sebastes koreanus) 자어[6.11–11.10 mm body length(BL)]와 치어(18.60 mm BL)를 대상으로 분자 동정을 실시하고, 성장에 따른 외부 형태 발달 및 내부 골격 발달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또한, 황해볼락 친어에서 얻은 부화 직전 알과 난황자어의 외부 형태를 자세하게 기재하였다. 황해볼락의 부화 직전 알은 구형을 띠고, 배체에는 어떠한 흑색소포도 없는 것이 특징이며, 난황자어 역시 복부 위쪽 일부를 제외하고 흑색소포가 나타나지 않았다. 척색장 6.74 mm 자어에서 처음으로 척색 말단의 굴곡이 시작되고 두부극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척색장 8.84 mm 자어에서 척색 말단의 굴곡이 완료되었다. 또한 척색장 7.66 mm 자어에서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가 처음 분화되어 나타났다. 자어기부터 두정부와 복강에 점상 또는 선상의 흑색소포가 출현하였으며, 일부 개체는 후두부 뒤쪽으로 흑색소포가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이는 종내 개체변이로 사료된다. 치어기에는 체측에 3개의 불분명한 흑색소포가 가로 띠를 형성하며, 등쪽과 배쪽에 뚜렷한 흑색소포가 분포하였다. 따라서 황해볼락 자치어는 흑색소포의 분포 및 형태에서 볼락속의 다른 종류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황해볼락의 최초 골화는 척색장 6.27 mm 자어에서 시작되었으며, 체장 18.60 mm 치어에서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성되었다. 최초 골격 발달은 악골, 새개부, 견대, 설궁에서 진행되었는데, 이는 섭식과 호흡, 유영에 필수적인 골격 요소에 우선적으로 골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두개골의 골화는 액골, 노정골, 익이골에서 최초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부설골과 기저후두골의 골화가 진행되었다. 치어에서 견대부의 견갑골과 가장 위쪽 사출골이 가깝게 연접해있지만, 아직 융합되지 않았다. 또한, 치어에서 미골의 하미축골이 서로 융합되어 3개(1+2, 3+4, 5)로 골화되었다. 황해볼락의 초기 골격 발달에서 부설골과 상설골의 골화가 늦게 시작되는 점에서 다른 볼락속 및 쏨뱅이속 어류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자치어의 형태 및 골격 발달 관점에서, 황해볼락은 다른 볼락속 어류와 달리 황해라는 독특한 환경에 고유하게 진화되어 온 분류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uthor(s)
유효재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58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073979
Alternative Author(s)
Hyo Jae Yu
Affiliation
해양생물학과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Advisor
김진구
Table Of Contents
Abstract iii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5
1.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5
2. Molecular analyses 8
3. Morphological analyses 9
4. Skeletal staining 12
5. Materials examined 12
i. Morphological development 12
ii. Osteological development 13
iii. Species examined in molecular comparisons 13
III. Results 15
1. Molecular identification 15
2. Morphological development 17
i. General morphology 17
ii. Head spines 18
iii. Fin rays 19
iv. Pigmentation 19
3. Osteological development 26
i. Neurocranium 26
ii. Jaw bones, Palatine and Opercular series 30
iii. Hyoid arch and Pectoral girdle 33
iv. Infraorbital bone 34
v. Vertebrae and Caudal skeleton 38
IV. Discussion 44
1. Morphological development 44
2. Osteological development 50
3. Release season estimates 61
V. References 6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