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Interface and Preposition Stranding
- Alternative Title
- 음운 접합부와 전치사 좌초
- Abstract
- 어휘부(lexicon)의 어휘요소가 구구조규칙에 의해 통사구조를 갖추는 심층구조에 다양한 변형규칙이 적용되어 표층구조로 도출되는 변형생성문법의 틀에 양화사의 다중해석 설명을 위해서 May(1977)가 통사규칙과는 별도의 양화사 인상(quantifier raising) 규칙을 제시하면서 의미해석 표시(semantic representation)에 해당하는 독립 층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Chomsky(1976)와 Chomsky and Lasnik(1977)는 언어 영역에 의미부를 설정하여, 어휘부에서 시작하여 통사부를 거쳐 의미부로 이어지는 도출과정과 조음-인지로 연결되는 음성부로 이어지는 도출과정을 설정하며, 전자를 의미 형태(logical form: LF)로 부르면서, 후자는 음성 형태(phonetic form: PF)로 구별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탐구 관점의 중요한 전환점이 최소주의(Chomsky 1995)에서 일어났다. 통사부에서부터 의미부와 음성부의 접합부(interfaces)로의 사상(mapping), 특히 음성 접합부로의 사상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된다. 그 이유는 통사부와 음운부 사이의 상호 작용과 기능, 역할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통사적 제약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웠던 특정 언어현상들이 실제 통사부의 현상이 아니라 음성부의 현상일 수 있겠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기의 연구 방향에 따라, 통사 구조에 대한 더욱 분명한 설명력을 찾기 위하여, 통사부와 음성부 사이의 상호작용, 즉 음성 접합부를 탐구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음성 접합부의 개념과 유래 그리고 이론 검증을 통해 음성 접합부로의 사상(mapping)의 본질을 밝히고자 한다. 최소주의 이론의 국면 이론(Phase Theory)과 다중 소리화(Multiple Spell-out)를 기초로 음성 접합부에서 설명을 시도한 우교점인상(Right Node Raising), 공백화(Gapping), 뒤섞기 (Scrambling) 등의 선형화(Linearization) 연구들을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는 음성 접합부를 협의통사론(narrow syntax)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음성부의 측면에서도 접근함으로써 소리화에 대한 통사부와 음성부의 서로 다른 개념을 비교하고, 운율구성(Phonological Phrasing) 장치를 이용한 영어의 보문사 that-흔적 효과 분석을 검토하며 음성부 중심의 음운 접합부(PF Interface)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을 살펴본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음성부 측면에서 음성 접합부로 접근하는 연구방법의 타당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음운적 자질(Phonological Feature)을 도출하여 전치사의 음운자질 [+/-P]를 고안함으로써 본 논문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전치사 좌초(Preposition Stranding: P-Stranding) 현상이 음성 접합부에서 설명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전치사의 [P] 자질은 국면 조건 충족을 근거로 한다. 즉,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가 국면을 이루는 경우 전치사는 자신의 보어와 결합이 고정되어 동반이동(Pied Piping)이 가능하고, 한편 전치사 좌초(P-Stranding)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전치사 P가 자신의 보어와 국면을 이루지 않는다면 영어처럼 전치사 좌초가 현상이 가능하다. 전치사는 [+P] 값과 [-P] 값을 자신 자질의 특성으로 삼는데, [+P] 값이 의무적 특성인 반면 [-P] 값은 임의적 특성으로 전치사가 [+P] 값인 경우 그 보어는 항상 [+P] 자질을 보유하기 때문에 동반이동이 일어나고 전치사가 [-P] 값인 경우 좌초가 가능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통사적 관점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영어 전치사 좌초 현상을 음성 접합부에서 음운 자질의 [+/-P] 값 특성에 대한 증거 제시를 통하여 현상의 임의성을 보다 체계적이고 일반화하여 설명하였다.
주요어: 음운접합부, 운율구성, 국면, 다중소리화, That-흔적 효과, 전치사 동반이동
전치사좌초, 전치사 음운자질[+/-P]값
- Author(s)
- 허수원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59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071080
- Alternative Author(s)
- Hur, Suwo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Advisor
- 박순혁교수
-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and Outline 1
1.2 Topics 2
1.3 Organization 8
Ⅱ. PF Interface from Syntax 9
2.1 Introduction 9
2.2 Interfaces and Phases 10
2.2.1 PF Interface 10
2.2.2 Phases and Spell-out 13
2.3 Linearization 19
2.3.1 Right Node Raising 19
2.3.2 Gapping 27
2.3.3 Scrambling 38
Ⅲ. PF Interface from Phonology 45
3.1 Introduction 45
3.2 Phonological Phrases 46
3.2.1 Definition and Nature 46
3.2.2 Relation-based Theory 49
3.2.3 Edge-based Theory 52
3.2.4 Optimality Theory 54
3.3 Spell-outs 57
3.4 That-trace Effects 62
3.4.1 Constraints 62
3.4.2 PF Feature 76
3.4.3 Phrosodic Restructing 78
Ⅳ. Preposition Stranding 95
4.1 Introduction 95
4.2 Conditions on Extraction 95
4.3 Syntactic Accounts 101
4.3.1 Escape Hatch 101
4.3.2 Reanalysis Rule 104
4.3.3 Cosuperscripting Hypothesis 107
4.4 Phonological Accounts 110
4.4.1 PF Ellipsis 110
4.4.2 [Agr] Feature Checking 114
4.4.3 Stranding Generalization 117
4.4.4 Conditions on Prosodic Phrasing 126
Ⅴ. Conclusion 136
Bibliography 138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