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xonomic review of the two Hippocampus species of Korea and Japan
- Abstract
- 한국과 일본의 해마속 어류 2종의 분류학적 재검토
한상윤
부경대학교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요약
실고기과(Syngnathidae), 해마속(Hippocampus) 어류는 다양한 색채와 부속지로 인해 분류학적으로 학자들간에 아직까지 많은 이견과 논란이 있다. 최근에는 분자분석을 이용하여 형태학적 연관성을 찾아 이들 해마속 어류를 재정립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여태까지 총 6종 (해마, 산호해마, 가시해마, 복해마, 점해마, 신도해마)이 보고되었다. 이들 중 우리나라에 대표적으로 서식하는 해마와 산호해마는 학명이 각각 Hippocampus. coronatus와 Hippocampus mohnikei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일본의 해마속 어류 182개체를 대상으로 mitochondrial DNA를 통한 분류학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 해마는 Cytochrome b 영역에서 일본의 H. coronatus와 3.7-4.3%, 16S rRNA 영역에서 실제 H. coronatus와 1.3-1.5%, 근연종 H. sindonis와 5.3-5.6%, 12S rRNA 영역에서 H. coronatus와 1.5%, 근연종 H. sindonis와 4.2-4.6%의 차이를 보였다. 형태적으로는 해마는 Lectotype 기준의 H. coronatus와 화관의 길이에서, Holotype 기준의 H. sindonis와 화관의 형태 그리고 등지느러미의 기저부극에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한국에 대표로 서식하는 이종의 이름을 새로이 제안한다. 한편, 산호해마는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Cytochrome b 영역에서 이들 그룹내에 3개의 A, B, C 계통을 형성하며, 서로 최소 3.5%로 계통간 유전적 차이를 가진다. A 계통은 유전자형 다양도(h)가 0.82381, 염기 다양도(π)가 0.00430로 나타나 최근에 팽창한 계통임을, B 계통은 h가 1.00000, π가 0.01011로 나타나 안정적인 계통임을, C 계통은 h가 0.90000, π가 0.00344로 나타나 최근에 팽창한 계통임을 나타내었고, 남해 동부에서 모든 계통의 서식지가 모두 중복되었기 때문에 산호해마 안에서 세분화되는 종 또는 아종의 존재 가능성을 지닌다. 따라서 산호해마 이들은 추후 비교종과의 추가 분자분석 또는 모식표본과의 형태적 비교 및 상세적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Author(s)
- 한상윤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60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073657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생물학과
- Advisor
- 김진구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ii
I. Introduction 1
II. Taxonomic review of Hippocampus coronatus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the Genus Hippocampus from Korean and Japanese waters 3
2.1 Introduction 3
2.2 Materials and Methods 5
2.2.1 Specimen collection and criteria setting 5
2.2.2 Morphological design 6
2.2.3 Molecular sampling 10
2.2.4 Molecular sequencing 10
2.2.5 Systematical analysis design 11
2.3 Results 14
2.3.1 Molecular identification 14
2.3.2 Systematics and Hippocampus coronatus species complex 16
2.4 Discussion 43
III. The cryptic diversity of Hippocampus mohnikei complex from Korean and Japanese waters 52
3.1 Introduction 52
3.2 Materials and Methods 54
3.3 Results 56
3.4 Discussion 57
3.4.1 Interpretation of A lineage 57
3.4.2 Interpretation of B lineage 58
3.4.3 Interpretation of C lineage 58
3.4.4 Total interpretation of Hippocampus mohnikei 61
IV. References 63
V. Acknowledgement 7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