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Taxonomic status of common dolphin in the East Sea, Korea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참돌고래는 동해에 약 30,000 마리가 서식하고 있는 돌고래이다. 참돌고래 속(Genus)dms 긴부리참돌고래와 짧은부리참돌고래 두 종을 포함하고 있다. 동해의 참돌고래는 형태적 분류를 통해 긴부리참돌고래로 알려져 있다. 정확한 동 판별을 위한 유전학적 종 분류 등과 집단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두개골 측정과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통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정립하고,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통해 집단 구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전 분석을 위한 표본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혼획된 참돌고래의 시료를, 두개골 측정은 기존에 제작된 두개골 표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이전에 이루어진 긴부리 및 짧은부리 참돌고래 분류에 대한 연구와 비교한 결과 두개골 측정 값은 긴부리참돌고래의 특징을 나타내었고, 미트콘드리아 DNA 과변이부위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짧은부리참돌고래로 밝혀졌다. 주요 유전자형은 연도별, 월별 비교 결과 집단간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유전자형 빈도 분포에서도 참돌고래의 하부 계군 구조를 추정하기 어려웠다. 매년 새로운 유전자형이 발견되었지만 이는 표본의 수의 증가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유전자형의 빈도분포에 변화를 주는 요인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웠다.
Author(s)
김지혜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60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071082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물공학과
Advisor
홍용기
Table Of Contents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5
1. Sample collection and DNA extraction 5
2. Skull measurement 7
3. Mitochondrial DNA amplification 8
4. Statistical analyses 10
III. Results 13
1. Taxonomic identification of common dolphin in Korea 13
A. Comparing Skull 13
B. Comparing mitochondrial DNA sequence 15
C. Phylogenetic analysis 20
2. Population genetic analyses of Korean common dolphin 22
A. Genetic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22
B. Demographic history 25
IV. Discussion 27
V. References 33
VI. Appendix 4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생물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