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합병의 효용과 절차에 관한 연구
- Abstract
- Law amendments in 2011 and 2012 was conducted from April 15, in order to improv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n companies.
The globalization of business manage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system aspects also see that there is a very large value. in this paper, we have seen it discussed the "A Study on the efficacy and procedure of the Triangular Merger" in the content of the amended Law.
Traditional merger regime in existence is the only way that the company issued new shares of the surviving company to the shareholders of the company were allowed to lapse. Shares acquired by the parent company and its subsidiaries have been banned in Law Award. Due to this country in the so-called"triangular merger(triangular merger)" was impossible.
이 논문에서는, 개정상법의 내용 중에서 “삼각합병의 효용과 절차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 검토 해 보았다. 전통적인 합병제도에서는 존속회사가 소멸회사의 주주에게 존속회사의 신주를 교부하는 방식만이 허용되었다. 그리고 상법상 자회사에 의한 모회사 주식 취득은 금지되어 왔다. 이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이른바 ‘삼각합병(triangular merger)'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M&A와 기업구조조정방식을 지나치게 제약하여 회사법의 자율성 및 효율성을 침해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2012년 4월 15일부터 시행된 상법(법률 제10696호)개정으로 삼각합병이 허용되었다. 이러한 삼각합병은 우리나라에 특유한 제도는 아니고, 국제적으로 이미 보편화된 제도를 받아들인 것이며, 그 동안 상법 개정을 통해 간이합병, 소규모합병 및 주식의 포괄적 교환과 이전 등을 허용하여 M&A의 활성화 및 기업구조조정의 원활화를 꾀하고자 한 법 정책과 같은 취지로 이루어진 입법적 결단이라고 할 것이다. 삼각합병은 제정법상의 합병이 아니므로 인수모회사는 대상회사의 부채를 승계하지 않으면서도 모자관계는 지속시킬 수 있고, 세법상으로도 조직재편에 대한 세제혜택도 받을 수 있는 등 장점이 많다. 그리고 2012년 11월, 삼각합병제도가 도입된 후 처음으로 실제 삼각합병이 이루어졌다.
- Author(s)
- 김영술
- Issued Date
- 2015
- Awarded Date
- 2015.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66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069689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대학원 법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법학과
- Advisor
- 김두진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ⅹ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2장 삼각합병의 개관 4
제1절 삼각합병의 의의 4
Ⅰ. 삼각합병의 개념 4
Ⅱ. 합병의 의의 8
1. 합병의 개념 8
2. 법적 성질 9
3. 합병의 유형 11
Ⅲ. 삼각합병과 구별되는 유사제도 12
1. 주식교환 12
2. 주식의 포괄적 교환 13
3. 분할합병 14
Ⅳ. 국제적 삼각합병 문제 14
1. 최근 국제적 합병의 특징 14
2. 국제적 삼각합병 문제 18
제2절 삼각합병의 입법동향 20
Ⅰ. 외국의 입법례 21
1. 미국 21
2. 일본 21
제3절 삼각합병의 종류 22
Ⅰ. 정삼각합병 23
Ⅱ. 역삼각합병 24
제4절 삼각합병의 효과 26
Ⅰ. 현금 사용 없는 기업인수 26
Ⅱ. 책임승계의 회피 26
Ⅲ. 주주총회 결의 및 주식매수청구권의 회피 28
1. 주주총회 승인결의의 필요성 28
2. 채권자의 보호 29
3. 주식교환․이전의 무효 29
4. 그룹의 유지 및 그룹 내의 조직재편 30
5. 외국회사와의 삼각합병 30
6. 자회사에 의한 모회사로의 자금공급 31
7. 우회상장의 효과 31
Ⅳ. 합병의 무효 31
1. 합병무효의 처리 32
2. 합병무효의 원인 32
3. 합병무효의 소 32
제3장 삼각합병의 효용 35
제1절 삼각합병의 활용과 여러 가지 문제 35
Ⅰ. 삼각합병의 용도 · 효용 35
Ⅱ. 삼각합병의 활용상의 문제 36
Ⅲ. 합병제도의 활용상 문제 37
Ⅳ. 삼각합병제도의 활용과 과세문제 38
1. 서론 38
2. 합병에 따른 법인세 과세문제 39
3. 합병으로 인한 청산소득과세 40
Ⅴ. 삼각합병의 과세문제 44
1. 삼각합병제도와 과세 44
2. 세법상의 해결방안 45
제4장 삼각합병의 절차 47
제1절 개요 47
제2절 삼각합병의 당사회사 47
Ⅰ. 자회사 47
Ⅱ. 대상회사 50
Ⅲ. 인수모회사 51
제3절 합병대가로서의 자기주식 취득 51
Ⅰ. 자기주식의 취득과 처분 51
Ⅱ. 배당가능이익으로 하는 자기주식의 취득 55
Ⅲ. 자기주식 취득의 제한 55
Ⅳ. 취득재원 56
Ⅴ. 의사결정 57
Ⅵ. 취득방법 58
Ⅶ. 신주의 발행 60
제4절 특정목적에 의한 자기주식의 취득 61
Ⅰ. 일반론 61
1. 회사의 합병 또는 다른 회사의 영업전부의 양수 62
2. 회사의 권리의 실행 62
3. 단주의 처리 62
4. 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 63
Ⅱ. 삼각합병시 채권자 보호의 문제 65
제5절 자회사의 설립 66
Ⅰ. 삼각합병계약 체결 66
1. 당사회사 66
2. 자회사에 의한 모회사 주식 취득 67
3. 주주총회의 승인결의 72
4. 삼각합병제도의 보완과제 74
5. 삼각합병제도의 외연확장 문제 77
제6절 삼각합병의 개선방안 78
Ⅰ. 삼각합병의 개선방안 78
1. 삼각합병의 법적과제와 법제개선의 방향 78
2. 상법상의 해결방안 79
Ⅱ 회생절차 합병의 개선방안 83
1. 회생절차에서 삼각합병의 관리인체계와 지배구조의 개선 83
2. 회생절차 M&A의 절차상 개선점 84
3. 회생절차 M&A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85
4. 합병무효의 소제도의 개선 방안 86
제7절 기타 관련 문제 86
Ⅰ. LBO형 삼각합병 문제 86
Ⅱ. 삼각합병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87
Ⅲ. 정보공시 88
Ⅳ. 등기 89
제5장 역삼각합병제도 90
제1절 역삼각합병의 의의와 사례 90
Ⅰ. 역삼각합병의 의의 90
Ⅱ. 역삼각합병의 사례 91
1. 절차상 효율성 91
2. 경제적 효율성 92
제2절 역삼각합병의 절차 92
Ⅰ. 합병계약서의 승인 92
1. 절차상 효율성 93
2. 경제적 효율성 93
Ⅱ. 통상의 삼각합병 절차와의 비교 93
Ⅲ. 주식 교환 절차와의 비교 95
제3절 역삼각합병의 효용 97
Ⅰ. 통상의 삼각합병과 권리 등의 계속이용 97
1. 기존 인․ 허가권, 계약상 권리 등의 계속 이용 97
2. 자회사 정관규정 또는 회사법상 번거로운 내용의 우회 가능 98
3. 대상회사의 일부 소수주주의 반대 해결 98
Ⅱ. 2014년 상법 개정안상의 역삼각합병제도 98
1. 2014년 상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 98
2. 역삼각합병 관련 주요 쟁점 102
제6장 결론 104
참 고 문 헌 106
2011년 개정전후 상법 6
2014년 상법 개정안 9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법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