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실험적 인쇄 매거진에 나타난 흥미유발 요소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Interes Inducing Element of Experimental Printed-Magazine
Abstract
본 연구는 인쇄 매거진의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일환으로 실험적 인쇄 매거진을 통해 나타나는 인쇄 매거진의 흥미 요소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인쇄 매거진에 대한 고찰과 함께 존 듀이의 흥미 이론을 적용하여 인쇄 매거진에서 활용되는 흥미 요소의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를 토대로 분류된 기준을 활용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사례 분석을 통해 흥미 요소 활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으로 24종 69권의 흥미 요소를 활용한 매거진을 선별할 수 있었다. 사례 분석을 통해 활용되는 흥미 요소를 바탕으로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이를 검증하고자 했으며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매거진의 흥미 유발 요소 중 어떤 흥미 요소를 가장 선호하는가?
흥미 유발 요소의 활용은 수용자에게 긍정적인 평가가 이뤄지는가?
흥미 유발 요소의 활용은 수용자의 이용 행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조사는 2015년 6월 8일부터 6월 23일까지 15일 동안 3회에 걸쳐 직접(오프라인) 조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부산 지역의 공공 시설(사상 버스 터미널, 센텀시티 지하철 맞이방, 대학교) 등지에서 이뤄졌다. 설문지 작성 전 각각에 해당하는 매거진 샘플과 평균 5분정도의 사전 설명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작성자는 평균 15분에서 20분 정도의 훑어보기 과정 및 읽기 과정을 거친 뒤 설문을 작성하였다. 총 102명의 설문 참여인 중, 불성실한 응답 내용을 제외하여 총 96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인쇄 매거진의 감각을 통한 흥미 유발 요소에 관한 연구’라는 연구 목적을 밝히고 충분한 설명을 통해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표본은 일괄적으로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흥미 요소의 활용이 부분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신체적 흥미에, 남성의 경우 조작적 흥미에 보다 높은 평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rint magazines, and to identify the interest elements of experimental print magazines in a bid to achieve further magazine development. Theoretically, with the review of print magazines and the application of John Dewey's theory of interest, the theoretical concept of elements of interest, used in print magazines, was established. Using the criteria classifi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a study of cases was conducted, and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the pattern of using elements of interest was examined. 69 magazines in 24 kinds were found to use the elements of interest. Based on elements of interest, used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were verified through surveys. The research hypotheses are outlined below.

Which magazine interest element is preferred the most?
Is the use of elements of interest evaluated as positive by the user?
Does the use of elements of interes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use type?

To verify hypotheses,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three times for 15 days from June 8 - 23, 2015 at public facilities, etc., in Busan (Sasang Bus Terminal, Centum City Subway, and universities). Before the survey, respective magazine samples and photos were explained for 5 minutes on average, and subjects were required to glance through and carefully read the questionnaire for 15 to 20s. 96 of 102 answered questionnaire copies were adopted as effective ones, and analyzed. Subjects were explained about the study on elements of interest triggered through senses of print magazines before interviewing them.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are outlined below.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use of elements of interest had a partial but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in particular, women and men highly evaluated physical interest and manual interest.
Author(s)
김지수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67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072460
Alternative Author(s)
Kim, Ji So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홍동식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1
2. 연구 방법 및 범위 4

Ⅱ. 이론적 고찰
1. 인쇄매거진의 이해 7
가. 매거진 특성 7
나. 매거진의 분류와 구성요소 11
다. 인쇄매거진 디자인 연구에 대한 문제 제기 25
2. 흥미유발요소 31
가. 흥미 이론 34
나. 인쇄매거진과 존 듀이의 흥미 이론의 연계성 43

Ⅲ. 인쇄 매거진의 흥미요소
1. 흥미 요소 활용의 국내 사례 조사 46
가. 국내 사례 조사 기준 46
나. 유형별 사례 조사 51
(1) 신체적 흥미 51
(2) 조작적 흥미 64
다. 사례 분석 76

Ⅳ. 매거진 흥미 요소 활용에 관한 설문조사
1. 연구 가설 설정 79
2. 조사 방법 및 분석 방법 83
가. 조사 방법 83
나. 표본 응답자 특성 84
다. 분석 방법 85
라. 설문지 구성 86
마.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 88
3. 연구 결과 및 분석 92
가. 연구 가설 검증 1 92
나. 연구 가설 검증 2 101
다. 연구 가설 검증 3 112

Ⅴ. 결론
1. 연구 결과 요약 및 유의점 124
2. 연구의 한계점 129
참고 문헌 131
ABSTRACT 136
부 록 13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산업디자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