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척수장애인의 후천적 장애로 인한 내적갈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internal conflict experiences caused by acquired disabilities of spinal cord disabled people whose sense of self-identification as disabled people changed from non-disabled to disabled people due to life event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puzzle consists of how the internal conflict experience due to acquired disabilities is formed in the story of the study participants' lives,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internal conflict experience.
Therefore, three people who became spinal cord disabled due to accidents or diseases after adulthood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conducted three interview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eaning of the stud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opic, the meaning of the internal conflict experience caused by acquired disabilities found in the stories of the lives of these research participants was derived by , , and .
interpreted the life-long experience of non-disabled research participants until they became acquired disabled as "physical paralysis" and "psychological paralysis."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tory of internal conflicts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after becoming an acquired spinal cord disabled. The internal conflict occurred when the identity of non-disabled people as acquired disabled people changed, and this experience was a process of forming a new self in the lives of research participants.
means accepting a new identity as an acquired disabled person and living again by discovering new life goals.
As a follow-up study of this study, it will be meaningful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conflicts among spinal cord disabled people by studying various types of conflicts in addition to internal conflicts caused by acquired disorders. It would also be meaningful to conduct a qualitative study of what the experience of internal conflict in acceptance of acquired disabilities in adolescence is like in terms of self-identity.
Author(s)
이미혜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후천적 장애인 내적갈등 내러티브 탐구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6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4202
Alternative Author(s)
MI HYE LEE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전공
Advisor
강승희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자의 이야기 1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3. 연구퍼즐 9
4. 용어정의 10
II. 이론적 배경 11
1. 척수손상 장애인의 이해 11
2. 생애사건으로서의 후천적 장애 16
3. 자아정체감 변화 19
4. 후천적 장애인의 내적갈등 22
III. 연구방법 26
1. 내러티브 탐구 26
2. 내러티브 탐구의 철학적 배경 27
3. 내러티브 탐구의 수행과정 29
가. 현장으로 들어가 현장에서 존재하기 30
(1) 연구 참여자의 선정 31
(2) 연구 참여자 소개 31
나. 현장 텍스트 작성하기 33
다.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이동하기 34
라. 연구 텍스트 구성하기 35
4. 연구의 윤리적 고려 35
IV. 척수장애인의 후천적 장애로 인한 내적갈등 경험 이야기 37
1. ❲강건희❳의 이야기 37
가. 비장애인에서 후천적 장애인이 되기까지의 이야기 37
(1) 그저, 열심히 사는 사람 37
(2) 26세에 후천적 척수장애인이 되다 38
나. 후천적 장애로 인한 내적갈등 경험이야기 41
(1) 자괴감과 원망, 죽을 용기 그리고 받아들임 42
(2) 역지사지와 자격지심 45
(3) 하지 않을 결혼, 그러나 외로움의 해결책 '결혼' 47
다. 미래의 이야기: 한 사람을 행복하게 해주고 싶은 사람 49
2. ❲윤빛나❳의 이야기 51
가. 비장애인에서 후천적 장애인이 되기까지의 이야기 51
(1) 평범한 셋째 딸 51
(2) 장애인이 됨과 병원생활 52
나. 후천적 장애로 인한 내적갈등 경험이야기 55
(1) 외출의 망설임 55
(2) 입고 싶은 옷? 아니, 입을 수 있는 옷! 57
(3) 두 번 다시 겪고 싶지 않은 속상한 실수 59
(4) 가족과 친구들, 그냥 넘어가거나 멀어지거나 60
(5) 스트레스 없는 나의 신혼집 62
다. 미래의 이야기: 건강, 나의 가족 그리고 공부 63
3. ❲한아름❳의 이야기 66
가. 비장애인에서 후천적 장애인이 되기까지의 이야기 66
(1) 만능스포츠우먼 66
(2) 부상과 장애 68
나. 후천적 장애로 인한 내적갈등 경험이야기 73
(1) 휠체어에 어울릴까? 73
(2) 도움을 청하는 속내 74
(3) 모성애가 없는 엄마 79
(4) 휠체어를 타고 있는 엄마 80
다. 미래의 이야기: 평범하고 건강한 삶 83
V. 척수장애인의 후천적 장애로 인한 내적갈등 경험의 의미 87
1. 마비의 순간 87
2. 바퀴위의 삶으로 놓아주기 91
3. 새로운 삶의 의미 찾기 96
VI. 논의 및 결론 100
1. 논의 100
가. 개인적 정당성 - '머물러 있기' 100
나. 실제적 정당성 - '공감하고 이해하기' 102
다. 사회적 정당성 - '그대로 바라보기' 104
2. 결론 106
참고 문헌 110
부 록 118
부록 1. 연구 참여자용 설명서 118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122
부록 3. 인터뷰대화 질문지 12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