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학급 유아교사들의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 이야기
- Alternative Title
- The Story of Cooperative Learning Community of Preschool Teachers in the Inclusion Setting: Changes in Perception and Educational Support on Pla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inforce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preschool teachers in inclusion setting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eacher education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a cooperative learning community was operated in composed of preschool teachers in inclusion setting and field specialist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hrough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t was examined how the preschool teachers in inclusion setting explored the understanding about the child with disability, play, and the practical changes in educational support.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about the engagement process of the preschool teachers in inclusion setting in the cooperative
learning community of preschool teachers ?
2. How do preschool teachers in inclusion setting who participate in cooperative learning community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young child with disability and play?
3. How do preschool teachers in inclusion setting change in supporting play of young child with disability
while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ve learning community?
Participants of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re composed of seven preschool teachers in inclusion setting and tw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was operated for 14 times under the main topic of understanding young child with special needs and support plan of play-oriented education. It was also based on the cooperative exploration and reflective practive between preschool teacher and field specialists. Data were collected in the operatiion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cluding observations, interviews, teacher journals and researcher journal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a mixture of inductive approaches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 following the general analysis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amining the process of pre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cooperative learning community, teachers started a gathering with positive relations by building emotional bonds. As the meeting proceed, conflicts emerged between preschoool teachers and field specialists. However, their relationships were restored by taking the initiative in learning and putting down the teaching attitudes. After then, they cooperated with each other by producing practical knowledge and experiencing the individual growth,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The meeting was ended according to the set end date, but the meeting will start again if the teachers' schedul is adjusted.
Second, Preschool teachers in inclusion setting participated in a teachers'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young child with disability and their play. Teachers thought that Child with disability was clumsy in every way, but now they think the child has potential abilities. Also, teachers became to recognize the value of the child's play by producing the practical knowledge about play education.
Third, Preschool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 practiced diverse education support for the pla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y increased participation and interes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bout play by changing th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of classroom. By restructuring the space, young child with disability were able to concentrate in play. Also, teachers provided the opportunities to the young child with disability to interact with peers through play. In addition, diverging from the attitudes in directing from the outside of play, teachers became to the child's play friend and to provide personnel and environmental support by enriching the play of young child with disability.
본 연구는 통합학급 유아교사들과 현장 전문가들로 구성된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며 장애유아와 놀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교육 지원의 실천적인 변화 탐색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장애유아를 위한 다양한 놀이 지원 사례를 제시하고 대안적 교사교육으로서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유아교사들의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통합학급 유아교사들의 장애유아와 놀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셋째,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통합학급 유아교사들에게 나타난 장애유아 놀이지원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교사학습공동체는 어린이집 통합학급 유아교사 7명과 현장 전문가 2명으로 구성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는 유아교사들과 현장 전문가들의 협력적 탐구와 반성적 실천을 기반으로 운영되었으며,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와 놀이중심 교육 지원방안을 주제로 14회기 동안 운영되었다. 자료수집은 참여 관찰과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교사학습공동체 운영과정에서 전사자료, 교사용 활동자료, 교사저널, 연구자 저널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일반적 분석과정을 따라 귀납적 분석과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혼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경험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정서적 유대감을 바탕으로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모임을 시작하였다. 모임이 거듭되면서 유아교사와 현장 전문가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였으나, 유아교사가 학습 주체성을 회복하고 현장 전문가가 지식 전수자적인 태도를 벗어남으로써 협력적 관계를 되찾을 수 있었다. 이후 교사들은 협력하여 실천적 지식을 생성하며 개인의 성장을 경험하게 되었고 이는 교사학습공동체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예정된 일정에 맞춰 모임이 일단락되었고, 교사들 간의 일정 조율과 합의를 통해 재결합할 가능성을 남겨두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장애유아와 놀이에 대한 인식 개선을 경험하였다. 교사들은 '가르치기 힘든 존재'에서 '강점을 지닌 존재'로 바라보게 되었다. 또한 장애유아의 놀이와 교육에 관한 인식 변화를 기반으로 실천적 지식을 생성하며 장애유아의 놀이 능력을 발견하고 발전 가능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교사들은 장애유아의 놀이교육을 위해 다양한 교육 지원을 실천하였다. 장애유아가 놀이에 흥미를 갖고 참여하며 몰입할 수 있도록 교실의 물리적·공간적 변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장애유아가 스스로 놀이를 통해 또래와 어울리고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놀이 밖에서 지시하던 태도를 벗어나 놀이 안에서 친구가 되어주고 놀이 상황을 관찰하며 장애유아의 놀이가 풍부해질 수 있게 인적, 환경적 지원을 시도하였다.
- Author(s)
- 조인영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교사학습공동체 장애유아 놀이중심 교육 교사지원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7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4989
- Alternative Author(s)
- In Yeong Ch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Advisor
- 이연우
-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9
3.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1
1. 장애유아 통합교육 11
2. 장애유아와 놀이중심 교육 17
3. 통합학급 유아교사 29
4. 유아교사학습공동체 35
Ⅲ. 연구방법 43
1. 연구의 동기 43
2. 연구참여자 44
3. 연구 절차 54
4. 자료수집 및 분석 61
5. 연구윤리 70
Ⅳ. 연구결과 71
1. 통합학급 유아교사들과 현장 전문가들이 함께 만들어간 협력적 교사학습 공동체 71
2.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통합학급 유아교사들의 장애유아와 놀이에 대한 인식 변화 103
3.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통합학급 유아교사들의 장애유아 놀이 지원에 대한 실천적 변화 130
Ⅴ. 논의 및 결론 170
1. 요약 및 논의 170
2. 결론 및 제언 179
참고문헌 182
부록 208
1. 교사학습공동체 워크숍 활동록 208
2. 놀이계획안 214
3. 놀이실행안 215
4. 통합학급 유아교사-장애유아 상호작용 관찰 219
5. 아동발달검사 결과서 220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