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DEA를 활용한 민간기업의 R&D 효율성 분석: 공작기계 A사 사례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국가경제와 산업발전의 토대가 되는 제조업은 기술력이 안정적인 수요 확보의 원천이다. 제조업체는 R&D 투자를 통하여 핵심기술을 확보하고자 노력하며,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경쟁사보다 먼저 개발하여 상품화하도록 개발기간을 단축한다. 이는 R&D 활동의 효율화를 요구하지만, 실제 R&D 활동의 정의와 평가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공작기계산업의 A사에서 수행한 R&D 개발 완료 과제 79건을 대상으로 R&D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투입변수는 R&D 투자비와 연구인력, 산출변수는 목표달성율(개발기간)과 예상매출액 (5년간)을 설정하였으며, 투입지향의 DEA 모형을 활용하였다.
효율성 분석결과, 효율적 DMU는 CCR 모형 16건과 BCC 모형 26건이 해당되며, 규모효율은 IRS 56건, CRS 18건, DRS 5건이다. 효율성 점수가 CCR 모형과 BCC 모형 전체에서 평균 이상인 과제는 제품이며, 규모효율성은 전체 과제가 평균 수준이다. R&D 개발과제의 주된 비효율 원인은 기술적 비효율에 해당하며, 이는 과제의 효율적인 운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비효율적 DMU는 효율적 DMU를 대상으로 벤치마킹할 DMU의 정보를 참조하면 효율적 제고 방안 수립 시 도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DEA 모형을 기존의 공공 R&D 과제에서는 다루지 못한 민간조직의 투입과 산출변수를 정의하여 R&D 과제의 효율성을 다른 시각으로 살펴봤다는 것과 제조기업의 실 사례연구를 통한 R&D 활동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여 유사과제 연구 시 실무적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전체 DMU를 만족하는 변수 및 관련 테이터 확보가 어려웠던 것과 연구과제가 내부 R&D 대상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했기 때문에 제조기업의 산업특성에 따라 다른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제조업에 속하는 민간조직의 R&D 연구과제들이 확대되면 R&D 활동의 효율적 운영 및 경영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uthor(s)
전수진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Keyword
DEA 자료포락분석법 R&D 효율성 민간조직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79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5247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기술경영협동과정
Advisor
홍재범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2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기존연구 고찰 4
제1절. 이론적 배경 4
가. 효율성 개념 4
나. DEA 모형의 개념 7
제2절. DEA를 활용한 R&D 효율성 선행 연구 14
가. 공공 기관 15
나. 민간 조직 17
제 3 장 연구방법론 20
제1절. 연구 표본 20
제2절. 변수 선정 21
제3절. 모형 결정 23
제 4 장 분석결과 25
제1절. CCR 모형 25
제2절. BCC 모형 26
제3절. 효율성 분석결과 29
제 5 장 결론 36
제1절. 연구의 결과 36
제2절. 연구의 한계점 37
참 고 문 헌 3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기술경영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