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특허정보를 활용한 부산지역 산업의 기술중심 지역혁신역량 분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echnology-oriented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y Analysis of Industries of Busan using Patent Information
Abstract
특허정보는 객관적인 기술정보로서, 현재의 기술수준과 향후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기술혁신이나 변화를 조망하는데 매우 유용하고 가치 있는 자료이다. 특허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의 기술혁신역량 수준을 분석하는 것은 국가 및 지역에서의 지역혁신체제 확립을 위한 기획과 실행의 각 단계에서 매우 객관적이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국내·외에 걸쳐 종래 노동과 자본 중심의 요소투입형에서 첨단과학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혁신형지식기반사회의 급속한 진행으로 산업 및 사회 환경 전반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증가되면서, 그간 중앙정부 주도의 국가혁신체제가 지역 중심의 지역혁신체제로 전환이 시도되고 있다. 이는 특정 지역 내에서의 지식, 정보교류의 효율성에 기반한 각 지역별 혁신 성과 창출을 통해 국가혁신체제의 성과를 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계적으로도 국가혁신체제의 실현을 위해서 지역혁신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혁신체제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하려면 지역 내 기술혁신역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지식정보사회가 고도화될수록 새로운 지식, 신기술의 대두 속도가 급속하게 빨라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자면, 종래의 접근방법인 종합적 시각으로 매번 분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성적 분석을 배제하고 정량적 분석에 입각하여 지역 내 기술혁신역량의 동태를 적시에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상업화를 전제로 등록된, 객관적 기술 정보인 특허정보를 혁신역량의 대리지표로 간주하여 특허공동분류, 연관규칙 마이닝, 특허-산업연계표, ANP분석(Analytic Network Process, 네트워크분석과정) 등의 분석도구를 활용함으로써, 특허정보로부터 추출된 기술클래스 간 영향력을 산업 군에서의 상호 영향력으로 변환하여 산업 전반에 영향력이 큰 순으로 지역 내 주력 산업 군을 탐색한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ANP분석기법이 당초에는 의사결정 대안 간의 영향력에 기초한 의사결정방법론으로 제시되었으나, 점점 다양한 분야에서 요소 간의 영향력 분석으로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산업 전반에 영향력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중요한 산업이며, 정책지원 대상을 결정할 때, 당연히 이러한 산업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혁신체제의 지원 대상이 될 산업 군의 전략적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체계적이고 자동화된 분석방법의 토대로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역혁신역량 계량화방법론은, 정성적 분석을 포함한 종합적이고 다원적 접근을 보완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atent information is objective technology information, and it is very useful and valuable data for grasping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and future technology trends and forecas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or changes. In other words, patent information can be helpful not only for R&D parties but also for government or institutions to develop support strategies for industries.
As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is advanced, the government is shifting emphasis away from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NIS)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to a regional innovation system(RIS) centered on the region. Globally, interest in the regional approach is increasing for the concrete realization of N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planners of the RIS with information that will help in the better choice of policy support targets.
For the RIS to work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accurate diagnosi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the region is essential. This study implements to figure out region-specific industries by analyzing patent data using quantitative rather than qualitative methods. We will use patent information statistics as proxy data of innovation capabilities. The technology class extracted from patent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mutual influences in the industry group, and the dominant industry group is to b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tools such as patent co-classification, ARM(Association Rule Mining) and ANP(Analytic Network Proces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fact that ANP was used as a method of analysis of decision making at first, but gradually it i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lements in various areas. We consider that the industry group with the greatest influence on all industries is the most important. Finally, these industry groups with high spillover to the entire industry are those with high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y. These industry group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selecting target groups for policy suppor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acilitating the regional institutions to identify region-specific industries from a technology-oriented perspective and to develop support strategies for these industries.
Author(s)
박효철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Keyword
지역혁신역량 특허분석 ANP ARM IPC-KSIC연관표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8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4203
Alternative Author(s)
Hyo-chul, Par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기술경영협동과정
Advisor
서원철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방법과 구성 8
Ⅱ. 지역혁신역량에 대한 이론적 고찰 10
1. 국가혁신체제와 혁신역량 10
가. 국가혁신체제(National Innovation System) 10
나. 국가혁신역량(National Innovation Capability) 연구 12
2. 지역혁신체제와 혁신역량 18
가.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18
나. 지역혁신역량(Regional Innovation Capability) 연구 23
3. 기업, 산업의 혁신역량 및 특허분석 27
4. 특허정보를 활용한 국가 및 지역혁신역량 분석 30
가. 특허정보를 활용한 분석의 가능성 및 타당성 30
나. 특허정보를 활용한 혁신역량 연구 동향 32
5. 기존 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차별화 36
Ⅲ. 분석방법 배경이론 및 선행연구 40
1. 특허 공동분류분석(Patent co-classification analysis) 40
2. 연관규칙마이닝(Association Rule Mining) 46
3. 특허-산업 연계분석(linkage between patent and industry) 51
4. 네트워크분석과정(Analytic Network Process) 57
Ⅳ. 연구 방법 62
1. 연구모형 62
2. 특허정보 수집 및 트랜잭션 데이터 추출 64
3. 연관규칙 생성 68
4. 종합적 영향력 파급효과 도출 73
5. 부산지역과 국가간 혁신역량 격차 식별 78
Ⅴ. 연구 결과 81
1. 기술관점으로 확인된 부산지역 우위산업 81
2. 연구모형의 검증 82
3. 부산지역 산업부문의 포트폴리오 분석 86
Ⅵ. 결 론 94
1. 연구 결과의 요약 94
2. 연구의 시사점 95
3.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 97
참고 문헌 99
1. 국내 문헌 99
2. 단행본, 정부 간행물 기타 103
3. 해외 문헌 105
영문초록 122
124
1. 주요산업별 산업전반에 대한 기술의 종합적 파급효과 124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기술경영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