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Development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elastography : clinical and preclinical trials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노화, 운동 부족, 생활 습관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초래될 수 있는 근육 세포의 합성과 분해의 불균형은 근육조직의 손실, 즉 근감소증을 유발 할 수 있다. 이러한 근력의 감소는 부상이나 질병유발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독립적 생활의 제한이나 사망률의 증가를 촉진시키는 등의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는 장비들은 근육의 감소를 정확히 진단 할 수 없었으며,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CT나 MRI 등의 고가의 장비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많은 운동생리학 연구에서 이를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이에 대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Michelson Interferometer 를 기반으로 한 초고속 광단층 촬영기법(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을 개발하여 근육의 구조적 이미지를 고해상도(~10μm) 로 획득하였으며, 기존의 OCT를 개선하여 구조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기계적 특성까지 측정 가능한 광단층 탄성촬영기법(Optical coherence elastography, OCE)을 개발하여 근감소의 임상적 진단에 활용 할 수 있는 다각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남동부 아프리카에서 급증하고 있는 에이즈의 영향으로 노동이 가능한 안구종양의 빈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적 노동력 감소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의 안구종양 (Ocular Surface Squamous Neoplasm : OSSN)은 질병의 진행속도가 상당이 빠르고, 수술 역시 국소 종양 절제술 보다 안구 절제술을 시행하게 되어 의료비의 증가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며, 거의 대부분이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로 진행되어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영향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짐바브웨는 공식 집계자료에 의하면 유병률이 남동부 아프리카 내에서도 가장 높으나, 세계 최빈국에 속하여 효과적인 수술이나 치료를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조기진단의 필요성이 심각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OSSN의OCT 진단 소견을 확립하고, 조기 병변에서의 세극등 검사 (Slit lamp examination: SLE) 소견과 병리조직 소견을 바탕으로 한 조기 진단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안저 카메라 (Fundus Camera)와 OCT 장비를 융합하여 다른 안구질환에도 활용 가능한 융합진단장비개발 역시 추가로 수행하였다.
Author(s)
채유경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81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6247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생명융합공학협동과정
Advisor
안예찬
Table Of Contents
Ⅰ. Introduction
1.1 Preclinical trials for sarcopenia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elastography
1.2 Clinical trials for ophthalmic disease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Ⅱ. Experimental Setup
2.1 1310nm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2.2 1310nm optical coherence elastography (OCE) with external loading system.
2.3 850nm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2.4 1060nm swept 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S-OCT) system with fundus camera
Ⅲ. OCT imaging of atrophic muscles in rat models
3.1 Experimental methods
3.1.1 Preparation of animal models
3.1.2 Biomarker analysis using ELISA (TNF-α)
3.1.3 Imaging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histopathology
3.2 Experimental results and discussion
3.2.1 OCT images and histological images
3.2.2 Biomarker analysis (TNF-α)
Ⅳ. Strain estimations of atrophic muscles using optical coherence elastography (OCE)
4.1 Experimental methods
4.1.1 Preparation of animal models
4.1.2 Fabrication of silicone phantoms
4.1.3 Compression modulus measurement of phantoms using rheometer
4.1.4 Strain measurement of phantoms using optical coherence elastography
4.1.5 Strain measurement of tissues using optical coherence elastography
4.2 Experimental results and discussion
4.2.1 Compression modulus measurement of phantoms using rheometer
4.2.2 Strain measurement of phantoms using optical coherence elastography
4.2.3 Strain measurement of tissues using optical coherence elastography
Ⅴ. Preliminary studies for diagnosis of ophthalmic disease
5.1 Anterior segment imaging for ocular surface squamous neoplasia
5.1.1 Experimental methods
5.1.2 Experimental results and discussion
5.2 Retinal imaging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Ⅵ. Conclusion
Ⅶ. Acknowledgement
Ⅷ. References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의생명융합공학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