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Strategic Driving Models for Self-Driving Vehicle based on Road Topography
- Abstract
- 2011년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85.04백만tonCO2eq이며 도로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95% 비율을 차지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2020년까지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34%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급가속 회피, 경제속도 준수 등 에코드라이빙 교육 및 홍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배출량 감축기술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차량제어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방의 도로지형을 미리 파악하여 도로지형 별 최적운행전략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종단구간과 곡선구간에서 연료 효율적인 주행을 위한 최적운행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종단구간에 대한 최적운행전략의 기초 연구로써 차량이 오르막 주행 시 연료소모를 감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경사도 조건을 달리하여 도로지형을 생성하였다. 초기속도, 목표속도, 가속도 범위를 설정하고 속도 프로파일을 생성하였다. 각 속도 프로파일을 Comprehensive Model Emission Model에 적용하여 연료소모량을 산정하였다. 경사도 별 연료소모량이 최소인 가속도를 도출하고 최적 가속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차량이 오르막 지형을 주행 시 차량의 주행모드 별 연료소모량을 분석하였다. 평지, 오르막, 평지 순으로 구성된 도로지형을 생성하였다. 차량의 주행모드 별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시나리오 별 속도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연료소모량을 산정하였다. 연료소모가 최소인 최적주행모드, 속도변화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최적주행 시 소모된 연료소모량과 Cruise Control 주행 시 소모된 연료소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차량의 초기속도가 100 km/h일 때 최적 주행 시 소모된 연료소모량이 cruise control 주행 시 소모된 연료소모량 보다 평균 41.8%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기속도가 90 km/h와 80 km/h일 때 최적주행의 연료소모량이 일반주행의 연료소모량보다 각각 40.5%, 11.4% 감축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차량이 오르막, 내리막 주행 시 연료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주행모드를 분석하고 종단지형에 대한 최적운행전략모형을 개발하였다. 구간 별 주행모드를 다르게 설정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시나리오 별 속도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연료소모량을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평지에서 등속으로 주행하다가 오르막에서 감속하고 내리막에서 가속하는 주행행태가 연료소모량이 가장 적게 소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속도, 경사도에 따라 연료소모가 최소화되는 가속 및 감속할 수 있는 속도변화량을 도출하고 최적운행전략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최적운행전략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차량에 GPS 수신장비를 장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GPS 수신장비에 기록된 속도, 고도 등 데이터를 결측처리 및 평활화 기법을 통해 보정하였다.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르막, 내리막으로 구성된 34개의 고속도로 구간을 추출하였다. 34개 구간을 대상으로 최적운행전략에 의해 제어 주행상황과 일반 주행상황을 비교분석하였다. 최적운행전략에 의해 제어 시 연료소모량은 일반주행의 연료소모량보다 19.9% 적게 소모되었다. 최적운행전략의 CO2, CO, HC, NOx 배출량은 각각 16.7%, 90.5%, 82.7%, 73.3% 감축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곡선구간을 연료 효율적으로 주행하기 위한 최적운행전략 모형을 개발하였다. 원곡선 길이, 편경사 등 곡선도로의 속성을 랜덤으로 추출하여 다양한 곡선구간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차량이 곡선도로를 안전하게 주행하기 위해 안전속도까지 감속하여 원곡선 구간에 진입하도록 차량을 제어하였다. 구간 별 차량의 주행모드, 감속 및 가속정도에 따라 속도 프로파일을 각각 생성하여 연료소모량을 산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료소모가 최소화되는 최적운행전략은 다음과 같다. 차량이 안전속도까지 감속하여 원곡선 구간에 진입한 후 등속으로 주행하다가 원곡선 끝나는 지점부터 초기속도로 회복하는 주행행태가 연료소모량이 최소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측 및 외측, 곡선반경, 편경사를 고려하여 연료소모가 최소화되는 감속길이 및 가속길이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이 타당한지 입증하기 위해 검증하였다. 개발된 모형에 의해 제어 시 소모된 연료소모량과 일반운전 시 소모된 연료소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된 모형에 의해 제어 시 일반운전에 비해 연료소모량이 평균 10.5% 적게 소모되었다. CO2, CO, HC, NOx의 배출량의 평균 감축률은 각각 8.2%, 67.4%, 58.5%, 44.5%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최적운행전략모형이 향후 자율주행차량에 적용된다면 도로부문 에너지 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여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적운행전략에 의해 제어하는 자율주행차량의 시장점유율이 60%일 경우, 종단구간과 곡선구간에서 연료비용은 각각 연간 878,511,541원, 309,779,132원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Author(s)
- 최지은
- Issued Date
- 2016
- Awarded Date
- 2016.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Eco-driving Optimized Driving Strategy Fuel Consumption Greenhouse Gas Emissions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281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31353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Advisor
- 배상훈
-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INTRODUCTION 1
1.1 Backgrounds 1
1.2 Research Objectives 4
1.3 Research Flow 5
CHAPTER 2 LITERATURE REVIEW 8
2.1 Factors Influenced on Fuel Consumption and Emissions 8
2.2 Fuel and Emissions Model 12
2.3 Vehicle Control 20
2.4 Curve Warning System 26
2.5 Implications 28
CHAPTER 3 DEVELOPMENT of OPTIMIZED ACCELERATION MODELS FOR ROAD GRADES 30
3.1 Overview 30
3.2 Development of Optimized Acceleration Models for Road Grades 31
CHAPTER 4 ANALYSIS OF FUEL CONSUMPTIONS FOR ROAD TOPOGRAPHY 39
4.1 Overview 39
4.2 Creation of Road Topography 40
4.3 Creation of Speed Profiles 42
4.4 Fuel-efficient Driving Strategy 43
4.5 Effects on Reduction of Fuel Consumption 47
4.6 Summary 56
CHAPTER 5 DEVELOPMENT OF STRATEGIC MODELS FOR ENVIRONMENTALLY OPTIMIZED DRIVING ON UPHILL AND DOWNHILL SECTIONS 57
5.1 Overview 57
5.2 Creation of Road Terrain 58
5.3 Creation of Speed Profiles 59
5.4 Driving Mode and Speed Range with The Least Fuel Consumption 61
5.5 Modeling of Optimized Driving Strategy 68
5.6 Model Verification 72
5.7 Summary 94
CHAPTER 6 DEVELOPMENT OF STRATEGIC MODELS FOR ENVIRONMENTALLY OPTIMIZED DRIVING ON A CURVED EXPRESSWAY SECTION 96
6.1 Overview 96
6.2 Creation of Horizontally Curved Roads 97
6.3 Configuration of Driving 100
6.4 Simulation Scenarios 101
6.5 Driving Mode with The Least Fuel Consumption 105
6.6 Modeling of Optimized Driving Strategy 117
6.7 Verification 119
6.8 Summary 138
CHAPTER 7 CONCLUSIONS AND FURTHER STUDIES 140
7.1 Conclusions 140
7.2 Further Studies 144
REFERENCE 147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